여전업계 PF 정상화 지원펀드가 지연된 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채권단과 캐피탈사·FI(재무적 투자자)들을 대변하는 운용사 간의 가격협상이 쉽게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경기 악화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채권단과 운용사 모두 가격을 양보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민간 차원에서 결성된 펀드인 만큼 일정 수준의 투자 수익률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5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캐피탈사 등 여전업권이 자율적으로 추진한 PF 정상화 펀드 결성이 미뤄졌다. 펀드 조성 출범식이 열릴 당시만해도 10월 말을 목표로 펀드를 출시한다고 밝혔지만, '연내 출시'로 목표일자가 변경됐다. 여전업계 관계자는 "PF 정상화 펀드 결성은 연내 이뤄질 것"이라며 "가격 협상이 마무리단계이며 한 두달 가량은 미뤄질 수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PF 정상화 펀드는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업권이 자율적으로 PF사업장의 재구조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투자금은 4000억원이다. 신한·하나·KB·우리금융·IBK·메리츠·BNK·NH농협·DGB캐피탈 등 9개 캐피탈사가 총 1600억원 규모로 투자하고, FI(재무적 투자자)가 2400억원(예상)을 매칭한다는 설명이다.
펀드 결성이 차일피일 미뤄진 이유는 운용사와 채권단 간 부실 사업장 가격 견해 차 때문이다. 운용사는 매각가를 낮추길 원하고, 채권단은 매각가 할인을 원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여전업계가 보고 있는 부실사업장은 5~6곳이다. 대부분 경쟁력있는 사업장으로 투자가치가 높은 곳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이 가격을 쉽사리 양보하지 않았던 이유다. 또 자산운용사는 고금리와 경기침체로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매각가를 최대한 낮춰야하는 상황이다. 특히 정부가 개입하지 않은 민간 차원의 펀드 조성인 만큼 PF 정상화 자체 보다는 수익성을 고려해 가격을 결정해야 한다.
여전업계는 1호 펀드가 성공적으로 결성되면 지속적으로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1호 펀드를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면서도 "1호 펀드가 출시되면 경험이 쌓이고 있기 때문에 2호·3호 펀드는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며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