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대변환 앞둔 전력시장…“민간도 블랙아웃 대비해야”

대변환 앞둔 전력시장…“민간도 블랙아웃 대비해야”

기사승인 2024. 02. 06. 17:3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36년까지 전력망 대폭 증가 전망
신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등 영향
효율성 적은 소규모 발전소 필요
전력망 밀도 높아 정전 빈도 늘듯
"에너지저장장치 구축 등 나서야"
basic_2021
신재생에너지가 주력 자원이 되면서 민간사업자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구축하는 등 정전 대비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재생에너지는 발전소 설비 효율이 기존 발전설비보다 떨어져 전력망을 2배 늘려야 하는 간헐성·변동성 전원이기 때문이다. 정전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로 정전 대비에 철저해야 하는 이유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36년 전력망 설비는 2021년 동기 대비 50% 가까이 증가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2036년 송전선로와 변전소, 변전설비 용량은 2021년 대비 각각 63.9%, 37.7%, 48.5% 확대된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2050 탄소중립 정책이 가속화되면서 신재생에너지는 미래 주력자원이 된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023년 22.1%에서 2036년 45.3%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우선 대규모로 지어져 하나의 큰 전력망이 필요했던 기존 석탄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와 달리, 신재생에너지는 소규모의 수만 개 발전소가 건설된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는 늘어나는 발전소의 양만큼 수십 개의 전력망을 만들어야 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간헐성·변동성 전원이라 기존 대규모 발전소와 달리 설비 효율이 떨어진다. 전문가들은 기존 대규모 발전소가 100개의 설비가 필요했다면, 신재생에너지는 400개의 설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문제는 우리나라 전력망 밀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지 내 전력 설비 밀도는 미국보다 2.36배 높고, 국내 송전설비 밀도도 미국보다 1.6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언제 어디서나 정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특히 정전 빈도가 높아진 만큼 민간사업자들이 스스로 정전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장길수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앞으로 우리나라가 완벽하게 정전을 대비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이야기"라며 "정전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므로 민간사업자들은 정전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인정하고, 사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ESS 등 정전 대비를 스스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당연히 노력하겠지만, 민간사업자들은 정부에서 모든 전력 계통 문제에 대응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 충분히 공감해야 한다"며 "민간사업자들은 무엇이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인지 고민하고 기술 연구하는 등 민간사업자대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도 민간사업자들이 책임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한전에서 저렴한 가격에 좋은 품질의 전기를 공급해 주다 보니 정전에 대한 대비를 아예 안 하게 됐다"며 "이제 민간사업자들이 본인 사업장의 정전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스스로 정전 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