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조직개편 두고 학교 현장의 충분한 논의 협의 부족…‘전면 재검토 요구’

기사승인 2024. 05. 23. 16:3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전교조 등 현장교사들 "밀어붙이기식 일방적 조직개편 안돼 "
전남교육청
22일 전남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에서 열린 조직개편 추진안 공개 설명 토론회서 반대하는 교사 등 관계자들이 를랫카드를 들고 항의하고 있다./이명남기자
전남교육청의 조직개편을 두고 교육계 안팍에서 충분한 논의와 현장 의견수렴이 부족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교조전남지부와 교육현장 교사들은 전남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조직개편은 학교현장의 충분한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개편안으로 전면 재컴토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22일 전남도의회 교육위 요청으로 전남교육정보연구원에서 열린 2024년 전남교육청 조직개편 추진을 위한 공개설명토론회에서는 500여명의 교사, 일반직, 교장, 교잠, 공무직 직원들이 비좁은 강의실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복도와 통로를 가득 채웠다.

설명토론회 중 질의응답에서 A고등학교 교사는 "학교현장 지원을 강화한다는 조직개편안을 준비하는데 조직개편 TF에 교사가 배제되고, 2만2000 현장교사의 의견수렴이 없었다. 또 교직단체와 노조에 의견을 청취하지 않았고 준비와 논의 과정에서 공론 과정도 없었다"며 "이는 민주주의도 협의도 실종된 조직개편안이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200여명의 전남 유치원교사들은 "그동안 도교육청이 보건·급식·안전·교권 등 각종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면서 유치원을 배제해왔다"며 "유아교육 정상화를 촉구하라"고 성토했다.

교사들의 반대 목소리는 다양했다.

△이번 조직개편안이 통과되더라도 학교지원이 강화된다는 것을 믿는 교사는 한 명도 없다 △조직개편의 시작점이 학교와 교육에서 출발하고 있지 않다 △학교에 무엇을 지원하고, 학교에서 어떤 업무를 덜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부족하다 △ 전남교육청과 지역교육지원청이 일반직 위주이고 교사와 전문직은 홀대받고 있다 △ 특수교육팀을 교육적으로 고민하고 있지 않다. 조직개편 때마다 여기저기로 옮겨지고 이유도 말해주지 않는다 △ 교육지원청에 2~3명 일반직을 늘리는 것으로 학교지원을 강화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것이다 △ 근시안적이고 공학적인 조직개편이다 등 끊이지 않았다.

일반행정직 직원도 "이번 조직개편안은 교육지원청의 업무 과중을 해소하지 못하고 오히려 업무가 늘어서 '조직개편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전남교육청 모든 구성원이 반대하고 있고, 의견수렴도 충분히 되지 않아 조직개편을 성급하게 추진하지 말고, 시간을 갖고 협의해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조옥현 전남도의회 교육위원장도 "집에 가구 배치는 집에 사는 사람이 결정하듯 조직개편도 전남구성원들이 결정하는 것"이라며 "전남교육청 구성원들이 반대하는 내용을 충분히 들었다. 의회는 반대하는 의견들이 충분히 반영됐는지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남교육청 관계자는 "부족하지만 학교와 학생 중심 조직방향을 설정하고 학교현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개편이 추진됐고 외부 용역과 자체 TF팀을 운영하는 투트랙으로 준비했다"며 "의견수렴을 충분히 했다"고 설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