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G2 경제, 올해 내수 중심 성장 지속…韓 수출에 긍정적 효과”

“G2 경제, 올해 내수 중심 성장 지속…韓 수출에 긍정적 효과”

기사승인 2024. 05. 24.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lip20240523165014
/한국은행
올해 미국과 중국 경제가 내수 중심의 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성장이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4일 경제전망보고서 '최근 G2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올해 들어 미국과 중국이 양호한 성장세를 나타내며 세계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우선 미국의 경우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1.6%를 나타냈다. 예상보다 다소 저조하지만, 양호한 고용 상황에 힘입어 소비가 견조하고 설비투자도 증가로 전환돼 내수 중심의 성장 모멘텀을 이어갔다.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5.3%를 기록했다. 제조업과 SOC부문 투자와 함께 수출이 증가하면서 부동산 경기와 소비 부진을 만회하고 반등했다는 평가다.

한은은 미국과 중국 모두 정부의 재정부양책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는 점, 미·중 갈등에 따른 글로벌 분절화 및 첨단 제조업 우위 경쟁이 고조되면서 산업정책을 통한 투자 촉진을 하는 점 등이 G2 국가의 양호한 성장세의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최근 중국의 성장이 수출 확대를 통해 내수 부진을 만회하고 있다는 점이 내수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미국과 대조를 보이며, 양국간 갈등을 더욱 확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올해도 G2 경제가 내수 중심의 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미국은 노동시장이 점차 균형을 찾아가고 있으나 여전히 노동수요 우위 상황이 유지되고 있고 정부의 재정지원도 더해지면서 양호한 수준의 소비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설비투자와 데이터센터 및 유틸리티 부문에서도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경우 미국과의 교역마찰 등으로 수출 여건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정책지원을 통해 민간소비 회복과 첨단산업 투자를 늘려가면서 성장흐름이 점차 내수 중심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G2경제의 내수 중심의 성장흐름은 단기적 시계에서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

최병재 한은 국제종합팀 차장은 "미국과 중국의 투자 확대는 우리나라의 자본재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규제는 반도체,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상품 수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양국간 분절화가 심화되고 각 국가에서 자국내 생산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우리나라 수출도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