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모두가 강남 새 아파트서 시작할 순 없다

[기자의눈] 모두가 강남 새 아파트서 시작할 순 없다

기사승인 2024. 09. 04. 05:4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서울의 한 빌라 밀집지역 전경
서울의 한 빌라(연립·다세대주택)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전원준 건설부동산부 기자
전원준 건설부동산부 기자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산다'라는 식의 패배주의적 주장이 아니다. 10여년 전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에서 "개천에서 붕어·개구리·가재로 살아도 행복한 세상을 만들자"는 발언을 했다가 역풍을 맞은 것과 달리, 기자는 향후 '내집 마련'을 목표로 '작고 소중한' 월급을 알뜰살뜰 모으고 있는 평범한 20대 무주택 청년이다. 위선적 의도 역시 없다.

기자를 포함한 작금의 '부동산 공화국'을 살아가는 청년들의 심정은 연일 타들어가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켜 '주거 사다리'를 박살낸 데다, 부동산 정책 만큼은 이전 정부보다 나쁠 수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윤석열 정부도 크게 다를 게 없다는 사실을 점차 깨닫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이렇다 보니 대출을 크게 일으켜 주택 등 부동산을 매수하는 젊은 '영끌족'이 다시 늘고 있다. 실제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7월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한 2030세대 생애 첫 집합건물(아파트·연립·다세대·오피스텔·상가 등) 매수자는 총 14만9751명으로, 작년 동기(12만2161명) 대비 22.6% 늘었다. 같은 기간 서울만 놓고 보면 1만743명에서 1만5155명으로 41.1%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패닉 바잉'(공포에 의한 구매) 움직임이 또다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그래도 정부는 치솟는 집값에 위기의식을 느낀 듯하다. 무너진 비(非)아파트 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내년까지 매입임대주택·든든전세주택 등을 11만가구, 2035년까지 20년짜리 기업형 장기임대주택 10만가구를 각각 공급하겠다는 구상을 최근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실제 효과를 볼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른바 '현대판 주거 신분제'가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년 전 '월거지'(월세 사는 거지)·'전거지'(전세 사는 거지)·'빌거지'(빌라 사는 거지)와 LH 임대아파트 입주민을 비하하는 '휴거'(휴먼시아 거지)·'엘사'(LH 사는 거지) 등 혐오 표현이 초등학생 사이에서 확산하면서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준 바 있다. 이에 지난해 LH는 LH 아파트에 LH 로고 대신 민간 건설사 브랜드 로고 활용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왜곡된 부동산 계급 의식으로 인해 "야, 우리 때는 다 단칸방에서 시작했어"라는 기성세대의 말은 설득력을 잃은 지 오래다. 실제 국토교통부가 작년 말 발표한 '2022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73%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은 10.7%, 10.5%씩에 불과했다.

아파트 폭등장을 지나오면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평범한 주거의 기준이 너무 높아져버렸다. 모두가 당장 강남 새 아파트에서 출발할 순 없다. 빌라·오피스텔 전월세나 임대주택에서 아파트 자가 보유로 넘어가는 전통적인 주거 사다리 구조를 복원하려면, 정부 차원의 공급 대책과 더불어 사회 구성원들의 주택별 양극화 인식 해소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