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에는 창원시와 김해시,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남해군이 선정됐고 올해는 밀양시와 산청군, 거창군이 추가 선정됐다.
이 사업은 읍면동을 중심으로 지역공동체와 협업을 통해 복지·안전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중 안전분야는 지역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이·통장, 자율방재단 등과 일선 공무원으로 구성된 안전협의체가 지역 안전관리의 구심점이 되어 마을의 위험 요소를 발굴하고 점검·관리 등을 한다.
올해는 9개 시군, 52개 읍면동이 사업에 참여해 △도시형 △농산어촌형 △도농복합형 △안전취약계층 중심형 등 4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
신규 시군인 △밀양은 '재해로부터 안전하고 쾌적한 수산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도농복합형) △산청은 '시천면 제설작업을 위한 트럭장착 제설기 구입 및 운영'(농산어촌형) △거창은 '거창군 안전협의체 운영'(농산어촌형)을 주제로 한다.
3년 연속 선정된 △창원은 '일상이 안전한 안심 도시'(도시형) △김해는 '안전도시 김해를 위한 스마트 도시 안전망 구축'(도시형) △함안은 '함안군 안전협의체 운영'(농산어촌형)을 주제로 재난·범죄 취약지 예찰·점검 등을 추진하게 된다.
2년 연속 선정된 △양산은 '스마트 재난 안전체계 구축'(도시형) △의령은 '찾아가는 군민 안전점검단 운영'(농산어촌형) △남해 '마을안전지킴이 활성화'(농산어촌형)을 주제로 안전문화 캠페인 등을 벌인다.
지난해에는 6개 시군이 공모에 선정돼 이·통장, 안전 관련 단체 등 지역 거주민 2541명이 참여했다.
창원시는 재난범죄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야간순찰 101회 실시, 노후 주거지역과 상업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위험요인 발굴 활동을 추진해 알림 조명(로고젝터) 3대 신설, 노후 보안등 4곳 교체 등의 성과를 거뒀다.
함안군은 주민과 함께하는 '함안군 안전협의체'를 구성해 산사태 취약지역 사전 점검과 주민대피 안내, 안전 캠페인 등을 진행해 함안군이 산림청 주관 산사태 재해방지 우수기관으로 4년 연속 선정되는 데 기여했다.
남해군은 마을안전지킴이를 중심으로 안전 예찰·복구 활동을 50회 이상 시행하고 안전문화 캠페인도 벌여 지역안전지수 중 생활안전분야가 2개 등급 향상됐다.
천성봉 도 도민안전본부장은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지역의 최일선인 읍면동 주민들을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하는 안전관리 체계가 더 내실있게 운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도민들의 안전활동 확대와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를 통해 안전이 도민의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