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필수 응급의료 지원 등 도민 안전 강화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체계적 준비 대응
|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2025년 본예산 10조 7279억원 대비 2522억원(2.4%) 증가한 규모다.
세부적으로 일반 회계는 본예산 대비 2273억원(2.6%) 증가한 9조5억원, 특별회계는 38억원(0.3%) 증가한 1조746억원, 기금은 211억원(2.4%) 증가한 9050억원이다.
전북도는 이를 민생 회복과 지역경제 활력, 도민 안전 강화, 하계올림픽 유치에 중점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먼저 창업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펀드 조성금 규모를 늘려 우수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익산에 '스타트업 라운지'도 세워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또 외국인 창업을 지원하는 '글로벌 창업 이민센터'를 운영하고 도내 기업이 생산한 우수 제품의 마케팅을 돕는다.
지방도로, 지방하천 등 지역 인프라 사업의 수주 물량을 늘려 지역의 건설경기 활성화도 도모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를 기존 8천600억원에서 1조3천억원으로 확대해 내수 진작을 유도하고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도 늘린다.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도 챙긴다.
농어촌의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를 3500명에서 4500명으로 확대하고 올해 정부 예산에 반영되지 않은 '무기질 비료 구입비'를 추경에 포함시켰다.
특히 신혼부부에게 지원하던 공공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한도도 2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도 연 최대 150만원으로 높였다.
또 전북도는 하계올림픽 유치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맞춤형 예산을 짜고 전주시와 재정을 분담해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올림픽에 대한 국민, 도민의 공감대를 높이기 위한 여론조사와 캠페인, 홍보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련 행사도 기획한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비롯한 국제사회에 전북의 올림픽 유치 의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스포츠 외교 기반을 다지기 위한 국제적 홍보와 교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하계올림픽 성공 유치에 힘을 보태고 있는 도시와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고 화합 행사도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 추경은 이날 도의회에 제출될 예정이며 임시회가 열리는 오는 23일부터 상임위원회별 심사가 시작된다.
최병관 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추경은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준비에 시기적절한 대응을 위해 당초 5월로 예정되어 있던 추경 일정을 4월로 앞당겨 추진했다"며 "추경이 원안대로 통과돼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도의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