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회복되면 자본시장 선진화 성과 지금보다 더 드러날 것”
“인력난 해결하고자 금감원과 협업 체계 구축 추진”
|
김 부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MSCI 편입 관련해서 '미흡'으로 평가된 부분은 대부분 개선한 상황"이라며 "(김병환) 위원장님도 현재 미국에서 관련한 내용에 대한 홍보 및 투자자 소통 등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김 부위원장은 그간 추진해 온 세 가지 정책 방향인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질서 확립', '국내외 투자자의 시장 접근성 제고', '주주가치 기업경영 확립'에 대한 성과 등을 언급했다.
아울러 '자본시장 혁신·역량 강화'를 네 번째 정책 방향으로 수립했다고 밝혔다. 세부적인 방안으로는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 'IPO 제도 개선', 'BDC 도입', 'STO, 조각투자 플랫폼', '신탁업 혁신', '공모·사모펀드 경쟁력 제고', '금융투자산업 국제화' 등을 제시했다.
김 부위원장은 "부족하지만 지난 3년간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며 "현재 2500 수준의 코스피는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자본시장 선진화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현재 수준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도 생각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단 한 번의 노력으로 코스피가 5000이나 1만으로 가는 것은 어렵지만, 향후 경제가 회복하게 된다면 자본시장 선진화 성과가 지금보다는 훨씬 더 많이 드러날 것"이라며 "제도의 전반적인 방향에 대해서는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생각하는 만큼 앞으로도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본시장 선진화 노력의 대표 격인 '기업 밸류업'과 관련해서는 "현재 밸류업 공시는 134개로 이는 전체의 5.3%밖에 안 되지만, 시가총액 기준으로 보면 50% 수준에 달한다"며 "이는 생각보다는 나쁘지 않은 성과라고 생각한다"는 의견을 표했다.
그는 "5월에 우수기업을 선정해 표창할 예정이고, 밸류업 백서도 발간할 예정"이라며 "투자자와의 소통을 통해 제도를 보완하면서 긴 호흡을 가지고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해 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불공정거래 대응과 관련해서는 현실적인 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금융감독원과의 공동 조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에 따르면 금융위는 현재 7명 수준의 자본시장조사과 인력을 늘리는 방향을 우선 추진하고, 나아가서는 금감원과의 협업 체계도 더욱 더 견고히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