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홈쇼핑=가성비? 4050, 프리미엄 패션으로 공략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4010007502

글자크기

닫기

차세영 기자

승인 : 2025. 09. 14. 15:59

롯데·GS, 자체 브랜드 선봬
최고급소재 캐시미어 전면에
[사진2] 롯데홈쇼핑, 홈쇼핑 패션의 틀 깬 ‘네메르(neMMER)’ 론칭 … 오래 입어도 변하지 않는 럭셔리 캐시미어
롯데홈쇼핑이 홈쇼핑 패션의 틀 깬 '네메르(neMMER)' 론칭한다고 14일 밝혔다. / 롯데홈쇼핑
홈쇼핑 업계가 프리미엄 패션을 앞세워 중장년층 공략에 나섰다. KB국민카드가 지난해 발표한 'TV홈쇼핑·인터넷 라이브 방송 중심 소비 패턴 분석'에 따르면, TV홈쇼핑 이용자 중 50대 이상 비중은 68%에 달했다. 주 이용층으로 자리잡은 이들은 가격보다 품질과 신뢰를 중시하는 소비 성향이 강해 홈쇼핑사들이 자체브랜드(PB)·단독브랜드(LB)를 앞세운 고급화 전략을 본격화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롯데홈쇼핑은 '홈쇼핑=가성비' 이미지를 깨는 승부수를 던졌다. 14일 롯데홈쇼핑은 최고급 캐시미어를 전면에 내세운 신규 브랜드 '네메르(neMMER)'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오래 입어도 변하지 않는 옷'을 콘셉트로 내구성과 품질, 실용성을 모두 강조했다. 롯데홈쇼핑은 이번 론칭을 계기로 고급 패션 포트폴리오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홈쇼핑 패션의 고정관념을 깨고 프리미엄 패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패션 브랜드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인 곳은 GS샵이다. 실제 GS샵은 패션 부문 의존도가 높다. 자체 단독 브랜드 매출의 90% 이상이 패션에서 발생하고, 올 2분기 기준 유형상품 매출 가운데 의류 비중이 30%로 가장 높다. 홈쇼핑 고객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여성이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탐색·구매하는 상품군이 패션이라는 점에서 패션은 GS샵 매출 구조의 핵심 축이다. GS샵은 핵심 고객층을 4554로 설정하고 있다.

GS샵은 '프리미엄화'에 방점을 찍고 브랜드 리뉴얼을 단행하고 있다. 지난 8월 론칭 10년만에 PB 브랜드 '르네크루'를 리뉴얼했고, 이달에는 프리미엄 소재 브랜드 '쏘울(SO,WOOL)'을 캐시미어 100% 라인으로 업그레이드했다. 같은 기간 론칭한 어반 애슬레저 브랜드 '분트로이(BUNTRAU)' 역시 스판덱스 함유량을 최대 31%까지 높여 해외 프리미엄 애슬레저 브랜드 수준으로 끌어올린 원단을 적용했다.

이외에도 현대홈쇼핑은 '영 시니어' 5060세대를 겨냥하는 전략을 택했다. 올해 5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던 '영 시니어 트렌드 팀' 전담 태스크포스를 전사 차원으로 확대, 프리미엄 상품 기획을 강화하고 있다.

홈쇼핑업계가 PB 패션 고급화에 주력하는 이유는 수익성이다. 코로나19 시기 뷰티·식음료 카테고리 확장으로 외연은 넓혔지만 온라인 이커머스와의 경쟁 심화로 수익성은 낮아졌다. 반면 PB 패션은 단독 판매가 가능해 차별화할 수 있고, 판매 마진도 높다.

image001 (4)
GS샵은 프리미엄 브랜드 'SO,WOOL(쏘울)'을 25FW 시즌부터 소재, 디자인, 로고까지 새롭게 기획해 리뉴얼을 진행했다. / GS샵
차세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