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일즈 외교·금융 패키지 지원 등 전방위 지원
중동 부진·리스크 상존…포트폴리오 다변화 “과제”
|
14일 해외건설협회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OCIS)에 따르면 올해 1~8월 해외수주액은 372억달러로, 지난해 연간 실적(371억달러)을 이미 넘어섰다. 2015년(461억달러) 이후 최대 규모다. 10년간 300억달러 안팎에 머물던 실적이 단숨에 도약했다는 분석이다.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는 역설적으로 국내 건설·부동산 경기 침체가 꼽힌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로 공사비가 급등하며 내수시장이 위축되자 대형사들이 유럽·동남아 등 해외를 '기회의 땅'으로 삼아 적극 진출했고, 정부도 건설업을 기간산업으로 보고 전폭 지원에 나선 결과라는 것이다.
대표 사례가 사업비 187억달러(약 26조원)에 달하는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이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지난 6월 수주한 이 프로젝트는 올해 전체 해외수주의 절반을 차지하며 단일 규모 기준 최대 기록을 세웠다. 한수원은 △한전기술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한전연료 △한전KPS 등과 '팀 코리아'를 꾸려 참여했다. 관가의 한 관계자는 "체코 맞춤형 노형 제안, 유럽사업자 요건 취득, 바라카 원전 경험, 국내 기업 협력, 현지 사회공헌 활동 그리고 정부의 고위급 외교가 맞물리며 성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초 '2025년도 업무계획'을 통해 해외수주 목표를 500억달러로 제시하고, 세일즈 외교·금융 패키지 지원·인프라 협력 MOU 등 다각적 지원책을 이어온 바 있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도 유럽 인프라 투자, 재생에너지·원전·SMR(소형모듈원자로) 등 굵직한 프로젝트의 추가 수주 소식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민간 건설사들의 전략 변화도 힘을 보탠다. 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DL이앤씨 등 대형사들은 단순 시공을 넘어 투자개발형 모델로 사업 구조를 전환하고, 현지 맞춤형 전략을 통해 신흥시장에서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불안 요인도 적지 않다. 특정 초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수주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다. 또 전통적 텃밭인 중동 수주액이 77억달러로, 전년 동기(109억달러) 대비 30% 줄은 점도 아쉬운 부분이다. 이에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리스크 관리가 필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체코 원전 수주로 성과는 화려하지만, 특정 프로젝트·지역 의존도를 낮추지 못하면 언제든 실적이 후퇴할 수 있다"며 "중동 회복, 북미 리스크 관리, 신흥국 진출 확대 등 민관의 합동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