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 힘 의원은 최근 공군·산림청 실사단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진행한 현장 실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 공군 C-130J 수송기에 장착 가능한 MAFFS(Mobile Airborne Fire Fighting System·공군수송기탑재 산불진화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29일 밝혔다.
출장단은 미 공군 146비행단, 미 산림청, UAC 제작사를 방문해 실제 운용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적용 방안을 검토했다.
clip20250929170801
0
지연제 분사 작동법 설명. /유용원 의원실 제공
MAFFS는 대형 수송기에 장착해 단시간에 대량의 물과 지연제를 살포할 수 있는 체계다. 미국은 수십 년간 이 시스템을 운용, 현재 캘리포니아 146비행단은 C-130J 8대를 모두 장착 가능 상태로 유지하고 산불 발생 시 2대를 투입한다. 저고도·저속·고중량 비행이라는 특성 때문에 위험도가 높아, 750시간 이상 비행 경력을 갖춘 조종사만 임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별도 자격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산불 진화는 저고도에서 연기 속을 뚫고 주변 경계·관제·장애물까지 동시에 관찰하며 정밀 살포를 해야 하는 고난이도 작업이다. C-130J 조종사 단독으로는 수행에 한계가 있어, 미국은 반드시 선도기(Lead Plane)를 운영해 진입 경로·살포 패턴·이탈 경로·투하 시기 등을 안내한다. 이를 통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실사에 참여한 ㄹ공군 관계자는 "미국 공군 조종사들이 MAFFS 임무 투입 전 체계적인 비행 교육과 안전 절차를 이수하는 점에 주목했다"며 "우리도 단순히 장비만 들여올 것이 아니라 교육·훈련·안전 절차까지 제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lip20250929170850
0
MAFFS 지상지원장비. /유용원 의원실 제공
clip20250929170917
0
지상지원장비(견인차)를 활용 장·탈착. /유용원 의원실 제공
공군·산림청 실사단은 미국 역시 안전성 문제로 MAFFS를 주로 산불 확산 억제용 '방화선 구축'에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이들은 "단순 진화보다는 전략적 억제 수단이라는 점에서, 우리도 도입에 앞서 국내 산악지형과 기상 조건에 맞는 시범운용을 거쳐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해야 한다"며 " 아울러 장비 설치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지상지원 장비·인력과 임시통제구역 설정 등 제도적 기반 없이는 실질적 운용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유용원 의원은 "우리나라는 산악지형, 강풍, 연무 등으로 미국보다 산불 진화 여건이 훨씬 열악하다. 지금처럼 헬기 위주로는 대형 산불에 한계가 뚜렷하다"며 "산불의 대형화·상시화가 뚜렷해지는 상황에서 대응방안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산불은 이제 재난 대응을 넘어 국가안보의 문제로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지난 4월 국회에서 개최한 산불 대응 토론회에서도 이미 MAFFS 도입과 제도적 기반 마련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그는 "이번 미국 현장 실사에서 확인된 경험과 교훈을 토대로 당시 논의된 정책 과제들을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겨야 한다"며 "국회 차원에서도 공군이 안전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장비와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