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 서울에 미사일이 떨어진다면…

[??] 서울에 미사일이 떨어진다면…

기사승인 2010. 12. 20. 14:4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핵 떨어지면 1기당 30만 사상…북, 주요전력 전진배치로 수도권 위협


사진출처: 유투브(YouTube)
[아시아투데이=김의진 기자] 송전 통신 그리고 금융거래 등 주요시설이 위치한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 핵탄두를 탑재한 중량 900kg짜리 미사일이 떨어진다면?

최근 미 관계당국 발표에 따르면 마일단위 인구밀도를 8000여명이라 가정했을 때 1기당 30만여명의 핵 미사일 사상자가 나오게 된다.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당시 사망자는 각각 7만, 2만명이 넘었었다. 서울시 2009년 현재 인구밀도는 ㎢당 1만7000여명, 상주인원은 1000만(서울시 추산)이다. 이들 추정에 따르면 사전 요격에 실패할 경우 단 몇 발의 핵무기로 서울에는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럼에도 북이 핵미사일을 수도권에 투하할 가능성은 극히 낮을 거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제 막 1~ 2개의 핵관련 무기 생산능력이 있을 거라는 '추정'만 있다는 것. 그들은 또 북한이 핵 미사일을 쏠 의지가 있다고 해도 가까운 시일내에 실현은 불가능 할 것으로 전망한다.

그러나 위키리크스의 비밀문건 폭로로 인해 북에 대한 첩보 수집 및 분석능력이 허약하다 지적받은 대한민국 정보생산력을 보면, 이러한 가정은 단지 '민심 혼란'용 시비거리로 치부되어선 안된다는 것이 또하나의 중론이다. 육군의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에 대비하라'라는 구호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군과 민 그리고 관의 평시 방위관련 행동요령 반복숙달(훈련)에 대한 요구는 그러한 위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지만, 최근 16일 시행된 민방위 특별훈련만 보더라도 여론의 평가는 '우리 아직 멀었다'였다.

북한은 현재 평양에서 원산만 이남 지역에 지상군 전력의 70%를 배치, 170mm자주포 및 240mm방사포로 우리 수도권을 사정권 아래 두고 있다. 재배치 없이 그자리에서 수도 서울에 대한 대량 기습 포격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1만3000여기가 넘는 야포 및 다련장 전력이 짧은 시간차로 서울에 포격을 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북은 또 전투함 상륙함 잠수함 등을 포함한 800여척이 넘는 해군 전력의 60%를 전진배치해 놓는가 하면, 전투임무기 및 기동기 등 1700여기의 공군전력 중 40%를 평양에서 원산 이남 기지에 집중 배치해 단시간내 대한민국내 종심 깊게 침투할 수 있다.

지난 2009년 북한은 인공위성을 발사한다는 명목으로 국제적 우려 속에서도 로켓 발사를 강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차두현 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핵무기 제조기술과 운반수단의 동시 확보를 통해 2012년‘강성대국’완성 능력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려는 의도가 내포돼 있다"고 평했다. 실험은 분명 실패 했지만, 3200km가 넘는 거리를 쏘아 날림으로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증강시킬 역량을 충분히 보여줬다는 평이다. 특히 3단짜리 대포동 2호는 사거리가 1만5000km로 파악돼 이는 북한이 북미권 전역에 미사일을 꽂아 넣을 수 있게 할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여기에 또 1961년 김일성이 시작한 화학무기화 선언 이후 개발돼온 화학무기들, 세기를 넘기며 국제사회를 긴장시킨 대포동 시리즈 그리고 800만에 육박하는 예비군 등 육ㆍ해ㆍ공 전력의 전방지역 집중배치로 인한 리스크 증대가 결합하면, 사실상 서울을 포함한 경기권역은 결코 안전지대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런 위기의식에 합참은 지난 2006년 △시·도지사에게 취약지역 선정권한을 이양 △해·강안 경계지역 민간인 출입제한 △해양경찰서장 및 함대사령관에게 해상검문소 설치·운용권한 부여 등을 골자로 한 통합방위법규를 개정했다.

또 "북한이 대규모 재래식 전력을 유지한 가운데 핵·미사일·장사정포· 특수전부대 등 비대칭 전력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작년에는 이른바 '2020국방개혁' 기본안을 마련했다. 이 안에 따르면 군은 북의 핵 및 미사일 공격에 대비해 조기경보레이더·다목적 실용위성·항공정찰 및 무인정찰기(UAV)를 활용, 감시·정찰·정밀타격·요격·방호까지의 연계된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최근 서해상의 포격과 관련해 다시 이슈로 떠오른 북의 대규모 장사정포 위협과 관련해서는, 실시간으로 대력화전을 수행하기 위해 표적탐지 및 (타격)결심 및 능력 확충의 절차를 통해 적의 위협에 대비 중이다. 사전에 알려져 있듯 이는 화력작전수행본부의 합동화력운용체계를 활용해 공대지·지대지 미사일 및 K-9자주포, 차기다련장 그리고 특전팀과의 연계성을 강화한 방어 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더불어 합참은 전시 대량 사상자가 발생할 경우를 고려해 동원 예비군의 적정 수준에 대한 기준을 설정해 상비군 수준으로 전력을 정예화 시킨다는 포부를 기본안을 통해 내 놓은 바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