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오랫동안 유 의원의 의정 활동을 지켜봤을 때 유 새 원내대표가 청와대나 정부와 불필요하게 대립각을 세우거나 척을 질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합리적 대안을 찾기 위한 치열한 토론과 논쟁은 있겠지만 파열음은 내지 않을 것이다. 유 의원은 말이 통하는 ‘점진적 개혁론자’ 이기도 하다.
유 새 원내대표와 함께 당을 이끌어 갈 4선의 원유철 새 정책위 의장(경기 평택갑) 또한 온건한 정치 스타일로 유 의원과 함께 당의 질서 있는 변화와 혁신, 개혁을 이끌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유 새 원내대표 당선을 ‘새누리당의 반란’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새누리당은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을 위한 변화와 혁신, ‘미래’를 선택했다고 봐야 한다. 유 의원이나 원 의원 모두 특정 계파에 함몰돼 있는 정치인이 아니다. 여론에 귀 기울이고 무서울 정도로 민심에 민감하다. 진정한 민심을 청와대에 대변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절대 중립(?)을 선언한 김무성 당 대표는 내심 TK(대구·경북)의 유 의원과 수도권의 원 의원이 새로운 지도부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자신이 PK(부산·경남) 대선 주자로서의 보폭을 넓혀 나가기 위해서는 유·원 투톱의 협력과 함께 당의 혁신을 주도해 나갈 변화의 새 지도부를 간절히 원했을지도 모른다. 새누리당은 이제 미래와 변화를 선택했다.
당·청 관계에 있어서도 적당한 긴장과 견제로 박근혜정부가 제대로 갈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김 대표, 유 원내대표, 원 정책의장이 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당·청 관계가 일방적인 종속이 아니라 서로 적당한 긴장과 견제의 소통, 쌍방향 관계가 형성돼야 국민에게도 도움이 된다.
유 새 원내대표는 이날 당선 일성으로 “국민 눈높이를 충분히 감안한 수준의 과감한 인적 쇄신이 됐으면 좋겠다”고 청와대에 주문했다. 증세 문제에 대해서도 “현 정부가 증세 없는 복지라고 한 기조는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개헌 문제에 대해서는 “여든 야든 정치하는 사람들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개헌에 대한 자기 소신을 밝히고 활발히 토론하는 것이야 당연히 할 수 있는 것”이라며 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유 원내대표 체제 출범으로 당·청 관계가 치열한 토론이 있는 ‘건전한 소통’의 관계가 될지 정치권과 국민적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