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최경환까지 나서 만류…"朴대통령 국정 운영에 부담"
|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원내대표 선출은 전적으로 당에서 해야 할 일”이라면서도 “유 의원은 대통령 이름을 또 팔아 한자리를 하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집권여당이 더는 국민에게 혼선을 주거나 잘못하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줘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4·13 총선 참패 이후 민심이 악화된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전면에 내세운 지도부 후보는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다.
총선 참패 이후 침묵을 지켜온 ‘친박 실세’ 최경환 의원도 직접 나서 ‘친박 단일후보’ 논란 진화에 나섰다. 최 의원은 “4·13 총선 민심을 겸허히 받든다는 차원에서 ‘친박’으로 분류된 분들은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 안나가는 게 맞다”며 “선거가 끝난 지 며칠 되지도 않았고, 총선이 끝나고 당내 첫 선거인데 ‘친박’과 ‘비박(비박근혜)’을 나눠서 싸우면 대통령에게 엄청난 부담이고 국민에 대한 도리도 아니다. 이번에는 자숙하는 의미에서 ‘친박’ 후보가 나가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중진인 한선교 의원은 “도대체 무슨 명분으로 ‘친박 단일후보’란 말이냐”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친박’ 후보임을 자처한 두 분이 만나 한 분은 원대, 한 분은 전대 후보로 나눠먹기 합의를 했다고 하니 이 무슨 경을 칠 일인가”라며 유·홍 의원을 싸잡아 비판했다. 두 사람을 비판하고 나선 최 의원을 향해서도 “옳은 지적이지만 최경환도 그런 말할 자격이 없다. 그냥 가만히 있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청와대와 ‘친박’계의 만류에도 유 의원은 이날 오후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 후보로 이명수 의원을 확정하고 국회 정론관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었다. 유 의원은 “당이 어려운 상황에 원활한 여야 협상과 당청 소통을 위해 주위에서 원내대표 출마 권유가 많았다”며 “총선 후 장고 끝에 새누리당의 화합과 단결, 국회의 협치와 상생의 정치를 위해 원내대표 출마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계파정치를 청산하기 위해 저부터 탈(脫)계파를 하고 앞으로 ‘친박’, ‘비박’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겠다”며 “총선 때 국민들의 심판 중 하나가 계파정치가 지긋지긋하다는 것이었다. 더이상 붙들고 있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또다른 유력 원내대표 후보군으로 꼽히는 김재경 의원은 유 의원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천타천 원내대표 후보들께 제안한다”며 “한자리에 모여 최상의 원내대표단이 누구인지를 고민하자”며 합의추대를 촉구했다. 정진석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종적으로 결심을 못했다”며 “의견을 모으고 확신이 서면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