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산정책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를 통해 16~18일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해 53.6%가 찬성, 36.3%가 반대했다고 23일 밝혔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사드 배치에 찬성한 응답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50대(60.3%)와 60세 이상(70.9%)에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0대(46%), 40대(44.6%), 30대(41.8%)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는 30대에서 52.3%로 가장 많았고, 20대(45.3%), 40대(43.8%), 50대(30.7%), 60세 이상(15.1%)의 순으로 조사됐다. 유일하게 30대에서만 반대가 찬성보다 많았다.
사드 배치에 찬성한 응답자들이 밝힌 찬성 이유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69.9%) △한·미동맹 강화가 중요하기 때문(12.9%) △정부 결정을 신뢰해서(7.8%) 등으로 나타났다.
사드 배치에 반대한 응답자들의 반대 이유는 △정부의 결정을 신뢰할 수 없어서(42.4%)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될 것 같아서(19.3%) △전자파 등 개인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어서(16.3%) △북한의 미사일 공격 가능성이 낮아서(13.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사드 배치시 중국의 경제보복 가능성에 대해서는 71.8%가 ‘가능성이 있다’, 21.8%가 ‘가능성이 없다’고 답변했다. 중국의 경제보복 등을 감안해 사드 배치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53.9%가 동의하지 않았다. 중국의 경제보복 가능성이 있다고 한 응답자 가운데서도 절반 이상인 55.5%는 사드 배치에 찬성했다.
또한 중국의 사드배치 중단요구와 관련, ‘중국의 우려가 이해가 되지만 지나친 반응’이라는 의견이 55.5%에 달했고, ‘중국에 영향이 있으므로 중국이 우려할 만하다’(20.8%), ‘중국에 영향이 없으므로 중국이 관여할 일이 아니다’(18.8%) 등으로 나타났다. 사드 배치시 한·중관계에 대해서는 70.3%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