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은 롯데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 및 오너 일가의 탈세 과정 등에서 신 회장의 개입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또 신 회장이 해외 인수합병(M&A)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을 다른 계열사에 떠넘기거나 그룹 내 알짜 자산을 특정 계열사로 헐값에 이전해 회사에 손해를 입힌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18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롯데그룹 계열사들이 그룹 정책본부의 지시를 받아 비자금을 조성했으며 이 과정에서 신 회장의 직접적인 지시나 영향력 행사가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검찰은 롯데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하며 2004~2011년 300억원가량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이 담긴 USB를 확보했다. 또 1995~2002년에도 비자금 약 271억원을 조성한 증거를 포착했다. 검찰은 롯데건설 전직 사장들을 소환해 신 회장이 비자금 조성에 개입했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했다. 김치현 롯데건설 사장에 대한 소환조사도 이번 주 중 이뤄질 전망이다.
검찰은 롯데케미칼이 원료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일본 롯데물산을 끼워 넣어 이른바 ‘통행세’를 받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신 회장과 그룹 정책본부의 관여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홈쇼핑 업체 ‘러키파이’ 등 해외기업 10여곳을 인수하면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 롯데자산개발의 중국 청두 쇼핑타운 설립에 계열사들이 부당한 자금지원을 했다는 의혹 등과 관련해서도 신 회장이 직접적으로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검찰은 이 같은 방법들로 조성된 거액의 비자금이 신 회장 등 롯데그룹 오너 일가에 흘러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신격호 총괄회장이 2006년 차명으로 보유하던 일본 롯데홀딩스 주식을 장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74·구속기소)과 셋째 부인 서미경, 딸 신유미씨에게 편법 증여해 6000억원가량을 탈세하는 과정에서도 신 회장이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검찰은 또 그룹 계열사 부당지원에 신 회장과 정책본부의 지시가 있었다고 보고 있다. 롯데알미늄은 신 회장의 지시로 롯데피에스넷 현금인출기 구매 사업에 참여해 41억9000만원가량을 부당 지원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롯데쇼핑은 계열사들이 매입하고 있던 롯데상사 지분을 헐값에 매입했다는 의혹, 호텔롯데는 부여·제주호텔리조트 인수·합병 과정에서 부지를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사들였다는 의혹 등을 각각 받고 있다.
검찰은 이 밖에 신 회장이 형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의 400억원대 급여 부당 수령을 지시했다는 진술도 신 전 부회장으로부터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