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방향 사진 촬영도 허용
경호실, 특활비 20억원 절감분 일자리 창출에 활용
|
주영훈 대통령 경호실장은 이날 춘추관에서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과 함께 이같은 내용을 직접 브리핑했다. 1963년 창설된 대통령 경호실의 수장이 공개적인 브리핑에 나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주 실장은 “1968년 이후 50년 간 청와대 안전을 책임지는 실장으로서 국민께 불편을 끼쳐 죄송하다”며 “참고 기다려주셔서 고맙다”는 대국민 사과도 내놨다.
이에 따라 26일부터 청와대 주변 5개 검문소의 평시 검문과 바리케이드가 사라진다. 이 자리에는 서행을 유도하는 교통안내초소가 설치되고 더 이상 시민들에게 “어디 가십니까”라며 통행 목적을 묻지 않게 된다. 또 청와대 경비초소나 보안이 필요한 시설을 뺀 청와대 주변의 어느 지점에서나 청와대 방향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다. 다만 드론 촬영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제한된다. 또 청와대 주변 집회·시위 문제에 대해선 경호실이 행정자치부,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할 방침이다.
박 대변인은 “그동안 청와대가 권위주의적 공간이라는 통념을 깨고 ‘광화문시대’ 로 한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는 ‘친절한 경호, 열린 경호, 낮은 경호’를 지향하는 대통령 경호실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 실장은 “경호 능력이 더 뛰어 났다면 빠른 시일 안에 개방했을 텐데 못했던 게 사실”이라며 “지금은 청와대 앞길을 개방할 역량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 실장은 또 “야간 시민들의 안전 보장, 대통령 내외 경호는 어떻게 할 것인가에 깊이 있는 논의를 했고 자신 있게 개방한다는 결론을 냈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대통령 경호실은 대통령의 경호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가진 경호 역량을 대표한다”며 “국방력이 군사력만 뜻하는 것이 아니듯 경호실의 역량은 우리가 지난 과학·산업기술 수준이 다 같이 작동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대한민국의 경호 역량으로는 (개방으로 발생할 문제 등) 염려하는 부분을 충분히 극복해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통령 경호실은 이날 특수활동비와 업무추진비 78억3000만원 중 20억 원(25.6%)을 절감해 일자리 창출과 소외계층 지원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주 실장은 “경호업무 수행에 소요되는 특수활동비를 최대한 긴축 집행해 절감된 재원으로 정부 차원의 일자리 창출과 소외계층 지원 예산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경호실은 올해 특수활동비 절감액 15억1000만원과 업무추진비 절감액 5억 원 등 모두 20억 원 중 16억 원을 정부 일자리 창출 재원으로 반납할 예정이다. 절감액의 20%에 해당하는 4억 원은 경호실 공무직 신규채용 재원으로 활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