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문제, 우리가 대화를 통해 주도할 수 있도록 미국 지지 확보"
|
대통령 전용기에서 내린 문 대통령은 “지난 3박 5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공백을 메우는 과정이었으며,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을 확인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미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평화로운 방식으로 풀어나가고자 합의했다”면서 “또한 한반도의 문제를 우리가 대화를 통해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미국의 지지를 확보했다”고 방미 성과를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국민들이 촛불혁명과 정권교체를 통해 보여준 수준 높은 민주 역량과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을 당당한 나라로 만들어주고 있다 사실을 느꼈다”면서 이번 일정의 외교적 성과를 국민의 공으로 돌리고 감사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도착 뒤 출국까지 빡빡한 일정을 소화했다.
문 대통령은 28일 미국에 도착 직후 버지니아주 미 해병대 국립박물관에 있는 장진호 기념비에 헌화했다. 이어 한·미 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양국 경제의 호혜성을 강조하는 연설을 했다.
문 대통령은 29일 미국 의회 상·하원 지도부와 면담을 갖고 백악관으로 이동, 트럼프 대통령과 부부 동반 환영 만찬을 했다.
30일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한국전 기념비에 헌화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에 이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방미 마지막 날인 1일엔 특파원 간담회와 동포 간담회를 연이어 열고 이번 일정의 성과와 소회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