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회담은 큰 시작…협력하기를"
|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 대화가 북·미 간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시사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남북대화가 북한의 핵 무력 완성과 미국의 군사옵션까지 염두에 둔 응징으로 치닫던 대결국면에서 북·미대화의 ‘마중물’이 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김 위원장과 당장 통화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다. 나는 늘 대화를 믿는다”며 “틀림없이 나는 그렇게 할 것이다. 전혀 문제없다”고 긍정적인 의사를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의 대화에 전제조건이 없는가’라는 질문에 “그것은 내가 한 말이 아니다”라고 말해 ‘무조건 대화’가 아닌 ‘비핵화 대화’가 돼야 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그러나 북·미간 직접 대화채널을 언급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에게 ‘시간 낭비’라고 질타한 것과 비교하면 입장이 크게 선회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남북 간 고위급 회담이 개최되는 것과 관련해 “남북은 지금 올림픽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은 시작이다. 큰 시작”이라며 “나는 그들이 평창겨울올림픽 문제를 넘어서는 걸 정말 보고 싶다. 그들이 올림픽을 넘어서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적절한 시점에 우리도 관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남북대화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북핵 해결을 위한 북·미 대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북·미간 대화가 탄력을 받을 지는 남북간 고위급 회담에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관측된다.
틸러슨 장관은 전날 에이피(AP)와의 인터뷰에서 남북 고위급 회담 개최와 관련해 “(이번 회담이) 북한이 무언가를 의논하고 싶다는 바람을 우리에게 전달하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