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당일 첫 대면 상징성 극대화 위해 회담 후로
순조로운 조율로 추가 고위급회담도 불필요
|
당초 남북은 지난달 5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끄는 대북특사단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군사적 긴장완화와 긴밀한 협의를 위해 정상간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했으며, 남북 정상회담 이전에 첫 통화를 실시키로 했다”고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일 핫라인 연결이 완료됐고, 송인배 청와대 제1부속실장과 북한 국무위원회 관계자 사이의 시험통화가 이뤄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4일 “지금 분위기로 보면 (회담 전 통화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51%”라며 정상회담 이후 통화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이 관계자는 “27일 전에 한다면 상징적인 것인데 굳이 상징적인 것을 할 필요가 있을까 싶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전협정 이후 처음으로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문 대통령과 손을 맞잡는 장면의 상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굳이 회담 전 첫 대화를 나눌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정상회담 전 한 번 더 열릴 것으로 예상됐던 남북 고위급회담도 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지난달 29일 정상회담 의제 조율을 위한 첫 고위급회담을 열고 4월 중 추가 고위급회담을 통해 정상회담 의제를 정리하기로 했었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전반적인 회담 준비가 차질 없이 이뤄지고 있어서 고위급회담을 할지, 아니면 (다른) 상호 간 조율을 통해 논의할지는 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북측은 이미 지난 회담에서 “의제에 대해서는 재량권이 없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정상회담 의제는 고위급에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 김 위원장의 전권인 만큼 추가 고위급회담이 불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 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방북도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 실장과 서 원장이 방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며 “의제나 의전, 경호, 보도 등의 조율에 어려움이 있을 때 방북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했는데 원만하게 일이 진행돼 굳이 올라갈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다만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고위급회담 개최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며 “계속해서 협의를 하고 있고 내일이나 모레 열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