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번 크리스마스에는 쉬었지만…대형마트 의무휴업·온라인배송 규제완화 ‘꿈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226010013043

글자크기

닫기

안소연 기자

승인 : 2022. 12. 26. 15:20

대구시 시작으로 일요일 휴무 평일로 변경 관측
11월 생산자물가 농산물·유가 내려<YONHAP NO-3122>
서울의 한 대형마트 농산물 코너를 소비자가 둘러보는 모습. /사진=연합
대구시의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변경 행보는 유통업계에 변화의 마중물이 될 수 있을까. 대구시를 시작으로 의무휴업일을 일요일에서 평일로 바꾸는 분위기가 전국적으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온라인 배송 규제도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일단 유통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소상공인 및 마트 노동조합과의 마찰도 예상된다.

2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날은 일요일이자 크리스마스로 소비 대목이었으나 서울 시내 주요 대형마트들은 의무휴업일로 문을 닫았다. 보통 일요일은 평상시보다 방문객이 늘고 크리스마스라는 특수까지 겹쳐 매출을 배 이상 기대할 수 있는 시점이다.

해당 제도는 지난 2012년 골목상권 보호 및 마트 노동자 건강권 보호를 위해 실시 됐다. 그러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왔고 특히 온라인 장보기가 활성화되면서 구시대적 규제라는 의견도 개진되는 상황이다. 소비환경이 변하면서 의무휴업일 효과가 주변 소상공인에 돌아가는 게 아니라 온라인몰로 이동하는 예상 밖의 결과가 나온 탓이다.

변화의 불씨를 지핀 건 대구시다. 대구시와 8개 구·군은 지난 19일 대형중소 유통업계와 '지역 유통업 발전 및 소비자 편익 향상을 위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 추진 협약'을 했다. 현재 모든 지자체가 일요일에 쉬는 것은 아니다. 고양, 남양주, 안양 등 14곳은 수요일을 의무휴업일을 지정했다.

여기에 '새벽시간(자정~오전 10시) 영업금지' 제한에도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온라인 새벽배송이 활발히 진행되는 현실에도 대형마트들은 영업 제한 시간에 온라인 영업을 못 하고 있다. 물류창고를 활용한 배송은 가능하지만 점포 자체를 물류 배송 기지로 활용하는 게 불가능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중소유통상생협의화가 대형마트 새벽시간·의무휴업일 온라인 배송 허용을 골자로 하는 상생안을 빠르면 연내 발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대형마트로서는 온라인몰과 경쟁할 길이 열릴 수도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는 보통 주말 매출이 평일보다 약 2배 더 나온다"면서 "소비자 입장에서도 주말에 편하게 쇼핑할 수도 있고, 대형마트가 문을 열면 주변 상권도 같이 활발해지는 효과가 분명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해당 규제가 소상공인과 노동자의 건강권을 골자로 도입된 만큼 난관도 예상된다. 적어도 이들과의 협의가 동반되지 않으면 상당한 진통도 예상된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상인단체, 노동조합 등은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의무휴업 평일 변경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면서 해당 시도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마트산업노동조합은 성명을 통해 "의무휴업일을 일요일로 지정한 이유는 마트노동자들의 주말 휴식권과 전통시장과 골목시장과의 상생을 위해 월 2회 부여하고 있는 것이 전부"라면서 "법 제정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현행 의무휴업제도를 더욱 확대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소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