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 성남종합버스터미널과 고양 화정버스터미널, 서울 상봉터미널에 이어 올해 평택 송탄터미널이 문을 닫았다. 그동안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심화로 지방에서 이런 사례를 종종 접할 수 있었지만 이제 터미널 폐업이 더 이상 지방이 아닌 수도권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들 터미널은 지속되는 경영난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폐업을 선택했다. 이용객이 꾸준히 감소함에 따라 노선과 배차도 줄면서 수익을 내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 상황이다. 전국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 관계자는 "상당수 터미널이 수익성 악화로 인해 경영상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앞으로도 폐업하는 터미널이 계속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폐업한 터미널은 전국 32곳에 이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터미널 승객 수요는 40%, 매출은 30% 감소했지만 코로나19 엔데믹 후에도 이 수치가 회복되기는 커녕 오히려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게 업계 측의 설명이다. 그동안 모바일 예약, 카드 결제로 직접 표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졌고 광역버스 등 교통수단이 다양해진 것도 영향을 끼쳤다.
터미널은 민간업체이기 때문에 이 같은 수치가 지속되면 경영에 심각한 부담감을 줄 수 밖에 없다. 물론 터미널은 정부의 지원금을 받고 있지만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의 버스, 택시, 터미널 지원 예산 중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것은 버스(81.3%)다. 터미널은 0.2%로 택시(18.5%)와도 큰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폐업하는 터미널이 속출하자 정부는 △시외버스와 공항버스 차령 1년 연장 △무인 발권기의 유인 매표창구 인정 비율 상향 조정 △배차실 규정·버스 싣는 소화물 운송규격 제한·전세버스 차고지 규정·터미널 편익시설 업종 완화 등 터미널 업계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터미널 업계는 정부의 이 같은 규제 완화방안만 실행하는 것으로는 터미널의 잇단 폐업 사태를 막을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 관계자는 "지자체가 터미널을 공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공영화가 어렵다면 버스 준공영제처럼 터미널의 수익금을 관리하는 것을 재원으로 하는 터미널 준공영제 등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직접적인 지원을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터미널이 80% 이상 민간사업자"라며 "아무리 공공성이 있다고 해도 본질은 민간사업자이기 때문에 터미널에 직접 국비나 지방비를 투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포토] 문닫는 상봉터미널, 38년 만에 역사 속으로](https://img.asiatoday.co.kr/file/2024y/02m/09d/202402080100083650004693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