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폐업 터미널 막기 위해 지원한다지만…업계 ‘시큰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208010004693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24. 02. 09. 06:00

[포토] 문닫는 상봉터미널, 38년 만에 역사 속으로
운영 종료를 하루 앞둔 지난해 11월 29일 서울 중랑구 상봉터미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985년 문을 연 상봉터미널은 한때 이용객이 하루 평균 2만명을 넘어서기도 했으나 동서울터미널 개장의 영향을 받아 경영난에 시달렸다. /송의주 기자
전국적으로 시외·고속버스와 터미널이 폐업 위기에 처한 가운데 정부가 대책을 마련했지만 업계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업계에서는 준공영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가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 성남종합버스터미널과 고양 화정버스터미널, 서울 상봉터미널에 이어 올해 평택 송탄터미널이 문을 닫았다. 그동안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심화로 지방에서 이런 사례를 종종 접할 수 있었지만 이제 터미널 폐업이 더 이상 지방이 아닌 수도권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들 터미널은 지속되는 경영난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폐업을 선택했다. 이용객이 꾸준히 감소함에 따라 노선과 배차도 줄면서 수익을 내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 상황이다. 전국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 관계자는 "상당수 터미널이 수익성 악화로 인해 경영상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앞으로도 폐업하는 터미널이 계속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폐업한 터미널은 전국 32곳에 이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터미널 승객 수요는 40%, 매출은 30% 감소했지만 코로나19 엔데믹 후에도 이 수치가 회복되기는 커녕 오히려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게 업계 측의 설명이다. 그동안 모바일 예약, 카드 결제로 직접 표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졌고 광역버스 등 교통수단이 다양해진 것도 영향을 끼쳤다.

터미널은 민간업체이기 때문에 이 같은 수치가 지속되면 경영에 심각한 부담감을 줄 수 밖에 없다. 물론 터미널은 정부의 지원금을 받고 있지만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의 버스, 택시, 터미널 지원 예산 중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것은 버스(81.3%)다. 터미널은 0.2%로 택시(18.5%)와도 큰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폐업하는 터미널이 속출하자 정부는 △시외버스와 공항버스 차령 1년 연장 △무인 발권기의 유인 매표창구 인정 비율 상향 조정 △배차실 규정·버스 싣는 소화물 운송규격 제한·전세버스 차고지 규정·터미널 편익시설 업종 완화 등 터미널 업계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터미널 업계는 정부의 이 같은 규제 완화방안만 실행하는 것으로는 터미널의 잇단 폐업 사태를 막을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 관계자는 "지자체가 터미널을 공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공영화가 어렵다면 버스 준공영제처럼 터미널의 수익금을 관리하는 것을 재원으로 하는 터미널 준공영제 등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직접적인 지원을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터미널이 80% 이상 민간사업자"라며 "아무리 공공성이 있다고 해도 본질은 민간사업자이기 때문에 터미널에 직접 국비나 지방비를 투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