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칫 '정치적 배려' 때문에 인천시가 배제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기 때문이다.
APEC 정상회의 선정은 정부의 공모 기준만 놓고 보면 인천시가 가장 '적합'한데도 정치적 배려로 타 도시를 선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2의 잼버리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외교부는 조만간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할 도시를 최종 선정한다.
앞서 외교부는 인천시를 비롯해 제주도, 경북 경주시를 후보도시로 선정하고 현장실사 및 각 지자체장 설명회까지 마쳤다.
APEC 정상회의는 아시아 태평양지역 21개국 정상들이 모이는 연례회의다. 각국 정상들을 비롯해 각료, 경제인, 기자 등 6000여명이 방한하고 100여일 이상 부대회의도 개최한다.
국내에선 2005년 부산에서 처음 열렸고, 내년 국내 개최가 결정돼 개최도시 선정만 남겨놓은 상태다.
인천시는 평가기준 중 '국제회의 도시 여건', '정상회의 운영 여건' 등에서 타 도시를 월등히 앞선다고 자평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공항과 각급 회의가 가능한 컨벤션센터, 풍부한 프레지덴셜 스위트급 객실 등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APEC 정상회의에는 각국 정상들의 전용기와 각료·경제인·취재진들이 탑승하는 전세기 등 50여 대의 비행기가 국내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공항에 이들 비행기를 일정기간 주기하기 위한 주기장이 충분해야 하는데, 50여 대를 한꺼번에 주기할 수 있는 공항은 국내에선 인천국제공항이 유일하다.
또 인천공항에서 자동차로 20여 분 거리인 송도국제도시에 2만5000명을 동시수용 가능한 송도컨벤시아와 39실의 프레지덴셜 스위트급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인천시만의 강점이다.
이같은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위한 객관적 기준을 볼 때 인천시가 개최도시로 선정돼야 타당하다는 게 인천시민사회의 주장이다.
하지만 '지역균형발전 논리'를 앞세운 타 지자체 공세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경주시는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열리는 200여 개 회의를 대구, 울산, 부산 등에서 분산 개최할 수 있어 지역균형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다.
또 제주도는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서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면 균형발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인천시민사회는 지역균형발전 논리로 자칫 APEC 정상회의가 부실 개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염려하고 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부실한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배려로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를 선정할 경우 제2의 잼버리사태가 날 수밖에 없다"며 "공모 기준에 맞춰 객관적으로 개최도시를 선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균형발전 논리는 APEC 정상회의 목표와 부합하지 않는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주봉 인천상공회의소 회장은 "인천은 개항으로 시작된 손님맞이만 141년째"라며 "어느 곳보다 잘 준비된 인프라가 있고 성장 잠재력이 큰 도시이기에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대체불가' 도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