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방안 속도감 있게 진행”
|
금융위는 12일 김소영 부위원장을 주재로 '금융권 AI 협의회'를 개최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모두 발언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은 AI 인프라와 데이터 부족,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명확한 거버넌스 부재 등 애로사항을 제기해 왔다"며 "이러한 의견을 종합해 금융권 AI 활용 인프라, 금융권 특화 데이터 지원, 금융 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 등 금융회사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 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금융권 생성형 AI 이원 활용 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융당국은 금융권 오픈소스 AI 서비스 개발 및 활용을 통합 지원하는 '금융권 AI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로써 현재 국내 금융회사들이 망 분리와 자체 보안규정 등으로 AI 서비스 개발을 위한 오픈소스 AI모델, 데이터 등을 내려받아 내부망에 설치하는 제약의 해결을 도모한다.
또 금융당국은 금융분야 AI 학습 등을 위한 금융권 특화 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업권별 협회와 금융연수원, 보험연수원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생성형 AI 모델 학습 및 검증에 필요한 '금융권 특화 한글 말뭉치'를 만든다. 이를 '금융권 AI 플랫폼'으로 제공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고 금융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답변을 제공하는 현재 AI 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계획이다.
금융권에선 생성형 AI 등장함에 따라 A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생성형 AI는 인터넷망에서 제공되는 상용 AI와 회사 내부 시스템에 설치하는 오픈소스 AI로 구분된다. 국내 금융회사들은 AI 활용 목적과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 상용 AI와 오픈소스 AI 모두를 사용하는 방안을 꾀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방안의 신속한 추진이 가장 중요하다는 금융회사들의 요청에 따라 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진행할 예정"이라며 "금융 분야 AI의 저변 확대를 위해 금융회사 임직원뿐만 아니라 소비자, 금융 취약계층 등에 대한 AI 리터러시 교육 지원 방안도 금융연수원, 보험연수원, 업권별 협회 등과 지속 소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