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위원, 신탁 보수 중 일부 대가로 받기로 해"
"인과관계 없어…경찰에 명예훼손·업무방해 혐의 고발"
내홍 장기화 시 사업시행인가 등 차질 예상
|
앞서 일부 조합원들 사이에 정비사업 운영위원회(이하 운영위)가 하나자산신탁과 예비신탁사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일부 운영위원이 신탁 보수의 일부를 리베이트 형태로 받기로 약속받았다는 주장이 나온 데 따라 준비위가 결성됐다는 후문이다. 수정아파트 재건축 신탁 수수료만 150억원으로 추정되는 만큼, 일부 입주민들 사이에서는 "운영위가 특정 신탁사를 밀어주려 한 것 아니냐"는 불신도 있다. 하지만 운영위 측이 강하게 부인하며 경찰에 고소를 진행 중인 상태인 만큼, 당분간 신탁 방식과 조합 방식을 둘러싼 주도권 다툼으로 갈등이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19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여의도 수정아파트 재건축을 둘러싸고 신탁사와 운영위 간 리베이트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에 일부 주민들은 준비위를 구성하고, 신탁 리베이트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 운영위가 진행 중인 신탁 시행자 동의서 징구를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준비위는 최근 수정상가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조합 방식 전환을 위한 동의서 징구에 나선 상태다. 오는 30일에는 재건축 전문가를 초청해 조합 방식을 주제로 한 맞춤형 설명회도 열 계획이다. 단지 내외에는 준비위 활동을 알리는 현수막도 다수 게시된 상황이다.
|
해당 조합원은 "타 신탁사의 입찰 자체를 방해하고, 입찰 서류 역시 하나자산신탁에게 유리하게 설계됐다"며 "비전플러스가 다른 신탁사들에게도 동일한 조건(신탁보수 10%)을 제안했지만 모두 거절당했고, 유일하게 하나자산신탁만이 이를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소유주들이 분담해야 할 재건축 비용 150억원 중 일부가 특정인의 이익으로 돌아가선 안된다"며 "재건축을 통한 이익은 오로지 조합원과 소유자들이 나눠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운영위 측은 사실무근이라며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정종표 운영위원장 직무대행은 "운영위는 2017년 2월 주민총회 결의에 의해 구성됐고, 비전플러스와 수수료 문제가 있다는 투서를 받은 시점은 올해 6월 초"라며 "익명의 투서자를 찾아 명예훼손과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소한 후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만에 하나 의혹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이는 개인비리일 뿐, 운영위 결성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사항이며 지목된 본인 역시 극구 부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나자산신탁 관계자도 이와 관련해 "사업과 관련해 의혹이 발생한다면 사업을 접겠다는 의지를 전체 소유주들에게 내보인 바 있다"며 "내부에서 신탁 방식과 조합 방식에 대한 호불호가 갈릴 순 있지만 허위 사실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향후 사업시행인가, 시공사 선정 등 사업 절차가 불가피하게 미뤄질 수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이렇다 보니 주민들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단지 내부에서 만난 입주민 A씨는 "신탁 방식 업무협약까지 맺어 빠른 사업 진행을 기대했는데, 갑자기 조합을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반면, 수정상가 앞에서 만난 입주민 B씨는 "아무리 빠른 사업이 중요하다고 해도 이번 문제는 신뢰 문제가 걸린 사안"이라며 "철저한 의혹 해소가 선행돼야 하고, 경우에 따라 조합 설립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편, 수정아파트는 1976년 준공된 최고 15층, 329가구 규모 단지다. 재건축을 통해 향후 최고 49층, 총 498가구 규모 아파트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