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써 서울 시내에 무장애 친화공원은 모두 14곳으로 늘어났다.서울시는 이들 공원 2곳에 대한 무장애 시설 조성을 마무리 했다고 4일 밝혔다.
공원에는 출입구와 보행로, 유도·안내시설, 화장실 등 위생시설 등이 들어섰다. 무장애 시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종합안내판도 설치했다.
공원별 시설현황과 이용 행태 분석을 통해 △접근성 개선 △편의성 증진 △이용성 향상 △안전성 개선 등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공원을 이용 가능하도록 했이다.
무장애 친화공원은 지난 2012년부터 공원별 접근성과 이용성, 노후도, 사업효과 등을 고려해 해마다 1~2곳씩 늘어났다.
시는 설계과정에서 현장 자문을 통해 공원 시설물 이용 불편 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했다. 공간과 동선 체계 정비에서는 램프 신설, 단차 완화, 포장 개선 등 신규 동선을 구축해 단절없는 순환 동선을 확립했다.
이수연 정원도시국장은 "시내 공원을 어린이·어르신·장애인·임산부 등 보행 약자도 즐길 수 있는 무장애 친화공원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 지속가능한 포용 도시, 통합의 사회적 가치가 공원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도록 공원 조성에 '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기준을 적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