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공매와 펀드로 부실채권 정리 집중할 것"
금융위 제고방안 긍정적…"M&A 활성화로 건전성↑"
|
경·공매와 정상화 펀드로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를 내는 한편,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저축은행 제고방안에 따라 NPL 자회사 설립과 M&A(인수합병) 활성화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21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2024년 저축은행 결산실적 간담회'에서 "올해는 순익에 대해 플러스, 마이너스 요소들이 함께 영향을 미쳐 크게 의미 있는 숫자가 나오지 않을 것 같다"며 "경제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수익성과 건전성이 당장 많이 좋아질 것 같지는 않다"고 전망했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397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5758억원 손실)과 비교해 적자 규모는 줄었지만 부동산 PF 부실 여파로 건전성 지표는 악화됐다. 연체율은 8.52%로 1.97%포인트 올랐고, 부실채권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66%로 같은 기간 2.91%포인트 상승했다.
오 회장은 연체율이 상승한 원인에 대해 "기업대출의 절반 정도가 부동산 관련인데, PF 부실 여파로 기업대출 부분에서 연체율이 상당 부분 올라 전체적인 연체율이 상승했다"며 "적극적인 상각과 경·공매, 펀드 조성을 통해 연체를 줄여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실적에 대해선 PF 정리 속도와 충당금 적립 여부가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부동산 시장이 현재 좋아지는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해야 하는 점이 있을 수 있다"며 "다만 지난해 상반기에 적자 흐름은 끝난 것으로 보여, 올해 부동산 PF 매각 속도에 따라 실적에 플러스로 전환하는 부분들이 나타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지난 20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저축은행 역할 제고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도 언급됐다. 금융위는 저축은행들이 중저신용자에 대한 금융공급을 확대하고, 저축은행 업권의 시장 안정과 건전성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저축은행들이 저축은행의 부실 정리를 위해 NPL 자회사 설립과 정상화 펀드를 조성하고, 신속한 구조조정 차원에서 2년간 한시적으로 인수합병(M&A) 기준을 완화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최병주 경영전략본부 상무는 부실자산 정리 방안에 대해 "올해 안에 NPL 자회사 설립을 추진할 수 있도록 연초부터 회원사들과 지속적으로 상의하고 있다"며 "저축은행들이 상시적으로 부실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업계 자회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준비를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상화 펀드도 감독당국과 협의해 1분기 내에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선순위 투자자 비중을 20~30%로 설정해 재무적 투자자들을 유치하는 방향으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영업 환경이 좋지 못한 지방 저축은행의 활성화를 위해 지방 영업구역을 모두 통합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저축은행권에서 수도권 대형사와 지방 중소형사 간의 양극화가 심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만큼, 수도권 여신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4개로 분할된 영업 구역을 하나로 통합하자는 주장이다.
오 회장은 "전체 저축은행의 85%가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에서 4개 영업 권역을 모두 합쳐도 지방 저축은행은 15%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며 "지방 활성화를 위해 4개 권역을 모두 묶는 게 어떻겠냐고 금융위원회에 제안을 드렸다"고 말했다.
M&A 규제 완화에 대해선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금융위는 2년간 부실 저축은행이 아니더라도 자기자본비율이 12%를 밑돌거나, 자산 건전성 4등급 이하인 저축은행에 대해 수도권 포함 4곳까지 M&A를 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했다.
오 회장은 "79개 저축은행 중 30여곳 정도가 개인이나 가족이 지분을 가지고 있는 회사인데, 지금의 상속세 구조에서는 기업을 영위하기가 쉽지 않은 구조"라며 "현실적으로 매각으로의 길을 확실하게 열어주는 게 시장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고 건전성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아직 저축은행 업계가 생각하는 'M&A' 완전 자율화하고는 거리가 있는 만큼, 기회가 되면 당국에 지속적으로 요청을 드릴 계획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