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시장 등 9개 시장 점포에 3차원 좌표 부여
접근성 높여 화재 등 비상상황에 골든타임 확보
|
서울시내 전통시장이 MZ세대와 외국인관광객들의 핫 플레이스로 떠오르자 서울시가 전통시장 입체지도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최근 K-푸드 성지로 떠오른 경동시장을 비롯해 서울약령시장 등 건물형시장 2곳과 청량리전통시장, 청량리청과물시장 등 골목형시장 7곳이 대상이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들 상가 상가 1400여곳(13만㎡)에 3차원 입체주소를 전국 최초로 도입한다. 상세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전통시장에 X-Y-Z 좌표로 구성된 3차원 입체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반 3D 지도를 구현, 전통시장 내 점포와 시설물의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최근 전통시장은 외국인 관광객과 MZ세대의 새로운 놀이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지도앱만으로는 찾아가기 어려웠던 곳이 많았다.
시 관계자는 "응급 상황 발생시에도 소방구급대가 전체 건물 주소나 대략적인 위치 정보만 확인할 수 있어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도 있었으나 앞으로는 빠를게 찾을 수 있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전통시장을 하나의 주소로 통칭하는 것이 아닌 출입구를 기준으로 실내외 스팟에 대한 상세한 주소를 부여하는 '서울시 전통시장 유형별 주소부여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전통시장을 공간구조에 따라 △건물형 △골목형 △복합형으로 나눠 시장 내 점포 등의 위치와 소방안전, 대피보안, 전기가스안전 시설 등의 위치를 수집하는 기초조사를 실시한다.
이후 360도 카메라를 활용한 최첨단 장비인 스캐닝 라이다로 3차원 고정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점포, 주요 안전시설물, 차량, 사람 등 객체 정보와 결합해 3차원 입체주소 및 지도로 구현할 예정이다. 동대문구 전통시장연합회 및 청량리 전통시장 상인회장은 "입체주소 부여를 통해 청량리에 위치한 전통시장을 찾는 다양한 고객층이 상점을 쉽게 찾아 시장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옥현 디지털도시국장은 "첨단 3차원 고정밀 공간정보를 접목한 주소정보 구축과 활용모델 개발로 대한민국 전통시장의 주소체계를 변화시켜 시민 일상편의와 안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