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통계 생산으로 질환별 맞춤형 정책 수립"
|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질병청은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을 본격 시행한다. 올해 사업은 17개소의 희귀질환 전문기관을 기반으로 국가 관리대상 희귀질환(1314개)의 발생 및 진단·치료 현황 등의 체계적인 수집·분석과 통계 산출을 위해 전개된다. 이어 내년부터는 대상기관을 상급종합병원 등 단계적인 확대를 통해 사업 규모를 넓혀갈 예정이다.
2020년부터 매년 희귀질환자 통계연보가 발간 및 공표돼 왔으나 기존 통계연보는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자에 대한 정보, 그중 해당연도의 환자발생과 사망 및 진료 이용 정보에만 한정됐다. 이에 따라 전체 희귀질환자 규모 및 질환별 현황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의료기관 기반 희귀질환 등록사업이 시행되면 희귀질환자의 △환자 정보 △질환·진단 및 치료제 정보 △유전자 검사 정보 등을 의료현장에서 직접 수집하게 돼 산정특례 정보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질환별 다양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청은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해 관계부처나 산하기관과의 협업을 지속 시도해왔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을 희귀질환 등록사업본부로 지정해 등록관리시스템을 개발했다. 아울러 질환별 치료제 정보 수집을 위해 식약처와 협업, 희귀의약품 지정 및 의약품 허가 정보를 시스템과 연계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는 등록사업 시범운영을 실시, 전문기관 17개소를 대상으로 총 2824건의 희귀질환 정보를 수집했다.
질병청은 본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등록 지침과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을 배포한다. 동시에 의료기관 대상 등록사업 설명회 및 실무자 교육 등을 통해 양질의 통계를 생산하겠다는 방침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희귀질환 등록사업을 통해 국내 희귀질환 발생 규모 및 현황에 대해 국가가 직접 파악·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새롭게 마련됐음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향후 국내 희귀질환자 전수 등록을 위해 참여 의료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국가 통계를 생산해 맞춤형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