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정체성 맞지않고 종로 고유지명도 아냐"
주민들 정통성 있는 '숭인역'으로 바꾸고 싶어해
비용 10억원대…종로구, 막중한 부담 해결해야
|
구와 주민들은 삼국지에 나오는 중국 장수 관우의 위패를 모신 사당 '동관왕묘(동묘)'의 이름을 본뜬 동묘앞역이 서울의 역사적 정체성과도 맞지 않고 종로 고유의 지명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있다. 역명 개정은 '엄격히 제한' 하여 허용되며, 개정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은 원인제공자 부담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
복기대 인하대 대학원 융합고고학과 교수는 지난 3월 종로 강연에서 "동묘는 중국에서 재신(財神)으로 추앙받았다. 전국에서 관우사당이 모두 사라졌는데 서울 한복판에 남아 있다"며 "중국의 무속신앙이 우리가 보존해야 할 역사문화유산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동묘는 1963년에 보물 제142호로 지정됐는데, 중국풍의 건축물인 동묘에 대한 문화재적 가치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업을 하는 숭인2동 주민 이모씨는 "동묘앞역이라는 이름은 중국 사대주의 잔재인데 우리가 언제까지 이런 역명을 사용해야 하느냐"며 "지난해 노원구 당고개역이 불암산역으로 바뀌었다는 뉴스를 봤다. 창신동에는 창신역이, 신설동에는 신설역이 있듯이 동묘앞역을 숭인역으로 바꿔야 하는건 어찌보면 당연한것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숭인동은 조선시대 한성부의 숭신방과 인창방에서 유래했으며, 숭인이라는 이름이 서울 정체성에 맞는다는 것이다. 역사성이 있는 숭인역으로 변경된다면 주민들이 자부심을 가지게 될것이라고 종로구는 전했다.
|
동묘앞역 명칭 변경 논의가 본격화하면, 세번째 경우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교통실에 따르면 동묘앞 역 명칭 변경과 관련한 민원은 아직 접수되지 않았다. 종로구청이나 주민들이 공식적인 민원을 아직 제기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암초는 돈 문제다. 위의 계획에 따르면 역명 개정에 따라 발생되는 제반 비용은 원인제공자(또는 요청기관)부담이 원칙이다. 제반 비용은 개정에 따른 폴사인, 노선도, 표지판 등 정비와 안내방송 등에 소요되는 자금이다. 역명개정을 요청할 때에는 비용 부담주체를 사전 확정하고 명시해 요청하도록 되어 있다.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서울지하철로서는 불가피한 조치다.
아시아투데이 취재에 따르면 역명 변경 시 평균 18억원 안팎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액의 돈을 종로구와 숭인동 주민들이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빠듯한 예산으로 살림살이를 해야 하는 종로구로서는 만만치 않은 부담이다.
|
취재 결과 당시 당고개역 역명 개정과 삼각지역(전쟁기념관역) 역명 병기가 함께 이뤄졌다. 이에 따른 비용은 11억원 정도 들었는데, 6억 5000만원을 노원구가 부담하고 나머지 4억 5000만원을 전쟁기념사업회가 충당했다. 막중한 부담을 서로 나눈 것이다. 종로구로서는 참고할만한 내용이다.
동묘앞역 이름을 바꾸려면 △종로구 주민 의견 수렴 △종로구 지명위원회 심의 △서울교통공사 의견 조회 △서울시 지명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가 기다리고 있다.
정문헌 종로구청장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 담긴 종로의 가치를 살리고 후대까지 이어가는 것은 책무라고 생각한다"면서 "동묘앞역의 개명을 바라는 주민들의 숙원을 해결하고 종로의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는 다각적인 노력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