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립연구소와 플래그십 프로젝트 가동
|
과기부는 '2025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를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앞서 는 지난 1월 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에 862억원을 투자하는 2025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중 234억원 규모로 올해 신규로 추진되는 6개 사업 27개 신규과제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국가적 중요 기술 확보를 위해 '제1차 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된 수소·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CCU) 분야 국제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착수한다. CCU는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친환경 연료, 화학물질, 건설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 등 12개 기관과 협력해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의 내구성 향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CCU 분야에서는 미국·영국 등과 탄소 포집 기술의 상용성·비용 저감 등을 달성하기 위한 R&D를 추진한다. 한양대학교는 미국 DOE 산하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와 협력,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해 지속가능항공유(e-SAF)를 생산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AI기반 미래기후기술개발 원천연구사업은 인공지능 시대 AI를 활용한 한반도 미래기후 예측·대응 원천 기술 개발이 목표다. 사업에서는 기존 물리법칙 등 역학 기반 기후예측 모델의 정확도와 순수 AI 기후 예측 모델의 빠른 처리속도를 결합한 AI-역학 전지구 기후모델 개발, AI를 활용한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을 시도한다.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사업은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 무탄소 연료활용·초고성능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이 골자다. 이를 통해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원천기술 및 국내외 현장 적용을 위한 내구성, 안정성 등 기반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접합(페로브·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한계를 극복한 다중접합 태양전지를 개발해 효율성을 제고하고, 건물·차량 등 적용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차세대 CCU 기술고도화 사업에서는 무탄소에너지와 연계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기술 실증을 통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지원한다. 그 일환으로 제철 공정의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메탄올 등 액상연료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그린수소 기술자립 프로젝트사업은 지난해 수소기술 자립화를 위한 수전해 기술개발을 위해 신규로 추진된 사업으로, 올해 선정된 연구과제는 지난해에 선정된 알칼라인 수전해, PEM 수전해 국가수소중점연구실과 연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