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500㎡ 사찰 부지가 무료 힐링 공간으로…서울시, 호압사 숲 개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9010017187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5. 04. 29. 11:15

서울시, 예산 '0원'…사찰림 활용한 '공유숲 1호' 호압사 개방
약 1500㎡ 사찰 부지, 시민 공간으로 전환
무상사용계약으로 예산 절감하며 녹지공간 확대
5. 기와정원
서울시가 금천구 호압사 일대 전통 사찰 소유의 산림을 '호압사 사찰림 산림여가공간'으로 조성했다. 사진은 사찰 건축물 철거 시 보관해 둔 전통 기와를 재활용한 '기와정원'/서울시
서울시가 예산 부담 없이 녹지 공간을 확보하는 혁신적 방식으로 금천구 호압사 일대 전통 사찰 소유의 산림을 '호압사 사찰림 산림여가공간'으로 조성했다.

29일 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시가 사찰림을 공유숲으로 조성한 첫 번째 사례다.

시는 대한불교조계종 호압사와 토지 무상사용계약을 체결해 약 1500㎡의 사유지를 별도 매입 비용 없이 시민을 위한 공공 녹지로 전환했다. 특히 별도의 토지매입 없이 시민들에게 양질의 녹지 공간을 제공한 첫 사례로, 다양한 협력 모델을 통해 '정원도시 서울' 비전을 실현해가는 창의적 접근이라는 평가다.

시 관게자는 "서울시 내 산림의 46.6%가 사유지로, 공공녹지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사례처럼 도심 인접 사찰림을 시민 생활권 녹지로 전환하는 방식은 예산 효율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실현한 정책적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호압사 사찰림은 서울둘레길 12코스(관악산공원 입구→호압사→석수역)와 호암산 주 등산로가 접하는 지점에 위치해 공원녹지 비율이 낮은 서남권에 실질적인 녹색 복지 공간을 제공한다.

시는 이곳을 단순한 산책로가 아닌 △숲속 명상 쉼터 △320석 규모의 산림문화 무대 △어린이 숲체험 공간 △조망 쉼터 등 테마공간으로 조성했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사찰 건축물 철거 시 보관해 둔 전통 기와를 재활용한 '기와정원'으로, 자원 재활용과 전통미를 동시에 살린 점이다. 이는 예산 절감과 문화적 가치 보존을 함께 이룬 모범 사례가 될 전망이다.

나아가 시는 오는 7월 강북구 북한산국립공원 내 화계사 사찰림에 '치유의 숲길'을 준공하는 등 사찰림을 활용한 공유형 산림복지모델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수연 정원도시국장은 "이번 사찰림 공유숲 사업은 사찰과의 협력을 통해 도심 속 사유림을 시민과 공유하는 첫 사례로, 서울시 산림정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일상 속에서 자연과 치유를 누릴 수 있는 산림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4. 소나무 하부 조망쉼터
소나무 하부 조망쉼터/서울시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