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니터링·생활 파수꾼 신고체계로 1시간 내 현장대응 시스템 구축
|
육동한 춘천시장은 29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최근 서울과 부산 등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와 관련해, 도심지 지하시설물과 지하굴착공사 현장에 대한 특별 안전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육 시장은 "최근 5년간 춘천시 내에서는 총 13건의 소규모 싱크홀이 발생했으며, 주요 원인은 도로 굴착공사 중 흙막이·차수 부실, 노후 상·하수도관 균열 및 누수 등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시가 관리하는 상수도관(총 1760㎞) 중 278㎞(15.8%), 하수도관(총 1318㎞) 가운데 535㎞(40.6%)가 30년 이상 된 노후관으로 집계돼 관리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는 이에 따라 상수도·하수도 노후관로 정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상수도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552억 원을 투입해 32.5㎞를 정비하고 있으며, 매년 30억 원의 자체예산을 들여 추가 정비를 이어간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수도는 2024년까지 1차 국비사업으로 19.2㎞를 정비 완료했으며, 2026년부터 2029년까지 534억 원을 투입해 도심 노후관로를 집중 정비할 계획"이라며 "위험 구간은 시 자체 예산을 통해 즉시 보완한다"고 밝혔다.
|
생활 밀착형 감시체계도 가동된다. 안전보안관과 '운수 파수꾼'으로 위촉된 버스·택시 종사자를 통해 상시 예찰을 강화하고, 시 홈페이지·민원콜센터·봄내소식지를 통해 시민들이 쉽게 싱크홀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고 시에는 재난안전·도로·상하수도 등 관련 부서가 협업해 1시간 이내 현장 확인 및 응급조치, 빠른 복구를 시행한다.
한편 춘천시는 'AI 도로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실증연구'가 2026년 7월 완료되는 대로 시스템을 전면 적용하고, 중장기적으로 GPR 장비 도입도 적극 검토해 도로 지반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육 시장은 "지반침하 사고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예방 중심의 선제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지하시설물의 안전점검과 정비를 병행해 사고 없는 안전도시 춘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