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미애 의원실은 3일 국방부에서 제출한 '2024년 10월 군인복지기금(장병격려금) 자금청구' 내역을 인용해 김 전 장관이 지난해 10월 8일 드론사에 '군사대비테세 유공' 명목으로 300만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공교롭게도 이 날은 평양에서 무인기가 발견되기 전날이었다.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사진에 따르면 해당 무인기는 지난해 10월 9일 새벽 1시경에 발견됐다.
김 전 장관으로부터 격려금을 받은 드론사는 지난해 10월 8일밤 백령도에서 무인기를 띄워 북한에 침투시킨 뒤 대북전단을 살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추 의원실은 "북한 국방성은 무인기가 지난해 10월 8일 23시 25분 30초 백령도에서 이륙해 북한 영공을 침범했고, 이후 황해남도 장연군과 초도주변의 해상을 지나 남조압도 주변 해상까지 비행하다가 변침(항로 변경)해 남포시 천리마 구역 상공을 거쳐 평양 상공에 침입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근 조은석 내란특검팀은 지난해 10~11월 평양 무인기 침투는 윤석열 지시라고 들었다는 군 현역 장교의 녹음파일을 확보했다"며 드론사가 무인기를 북한에 보낸 정황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해당 녹음파일에는'V(윤석열 지칭) 지시다', '국방부·합참 모르게 해야 된다', 'V와 장관(김용현)이 북한 발표를 보고 박수치며 좋아했다. 너무 좋아해서 (드론작전)사령관이 또 하라고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밝혔다.
추 의원은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해 무리하게 군사도발을 유도하고 감행한 드론사를 격려하고자 장관 격려금을 사용한 것"이라며 "왜 하필 무인기를 북한에 보내기 직전 김 전 장관이 드론사에 격려금을 지급했는지 내란 특검의 수사를 통해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