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당진 합덕제에 희귀종 ‘하얀 어리연꽃’ 군락 자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7010003691

글자크기

닫기

당진 이후철 기자

승인 : 2025. 07. 07. 13:10

서식 조건 맞춤형 생태 복원의 모범 사례
당진 합덕제에 희귀종 ‘하얀 어리연꽃’ 군락 자생
당진시 합덕제에서 자생하고 있는 희귀종 수생식물인 하얀 어리연꽃 모습./당진시
충남 당진시는 합덕제에서 희귀종 수생식물인 '하얀 어리연꽃' 군락이 자생 중이라고 7일 밝혔다.

하얀 어리연꽃은 이름이 연꽃이지만 연이나 수련처럼 수련과가 아닌 조름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로 지름 1~1.5cm 크기의 하얀 꽃을 피우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수술을 먼저 내보내고 암술을 나중에 발달시켜 자가수분을 막는 전략가이기도 하다.

깨끗하고 얕은 물, 유속이 빠르지 않은 물에서만 자라며 환경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그 존재 자체가 건강한 수생 생태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여겨진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로 오랜 세월 활용되어 온 합덕제에 자연 자생하는 어리연꽃 군락이 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시는 수년 전부터 합덕제 일대의 생물 다양성 조사와 수질 관리를 강화해 왔다.

지난 2022년 조사 당시 40여 개체에 불과했던 어리연꽃은 2025년 6월 기준 약 700개체 이상의 안정된 군락지로 확장됐다.

이는 충남 내 내륙 저수지 중 드물게 확인되는 수준이다.

그 결과 최근에는 하얀 어리연꽃을 포함해 금개구리, 수달, 가물치, 너구리, 고라니, 물총새, 큰고니 등 다양한 생물들이 관찰되며 생태계의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어리연꽃이 군락을 이루면 수면 위에서 곤충과 개구리의 서식처가 되고, 그 아래로는 물고기와 무척추동물들의 은신처가 된다. 수달과 물새들도 이 주변을 자주 오가는 것이 확인되며, 생태적 연결망이 형성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 관계자는 "하얀 어리연꽃의 자생은 단지 식물 하나만의 관점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다는 희망의 상징이라"며 "앞으로도 합덕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생물 다양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후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