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8일 동부청사에서 동해안의 연안침식 실태조사 용역 보고회'를 열었다.
경북도는 지난해 도내 44개 연안 지역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침식 우려 및 심각 지역(C, D등급)은 전체 44개소 중 24곳으로 54.5%를 차지했다.
이는 2023년 25곳(58.1%)에 비해 1곳(4.2%)이 줄었고 2015년 80.5%였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지역별로는 울진군과 울릉군의 침식 우심률은 증가했지만, 경주시와 영덕군은 감소 추세를 보였고, 포항시는 변동이 없었다.
또 연안 지형 변화 측면에서는 연안 면적이 전년 대비 1915㎡(축구장 면적 약 0.3배) 감소했지만, 체적은 1만1963㎥(25t 덤프트럭 767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앞으로 해안선 후퇴 예측과 연안 안정성 평가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연구 용역 기관은 "2022년 태풍 힌남노 2023년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일시적 침식이 컸던 경주시와 영덕군 지역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연안정비 사업의 지속적 추진으로 침식이 점차 완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실태 조사는 드론 항공촬영, 위성 영상 분석, 수치 모형 기법 등을 활용해 정밀하고 과학적인 조사가 이뤄졌다.
경북도는 매년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방지 대책을 적용한 연안정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14곳에서 사업비 439억원을 투입해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중 316억원은 국가 직접사업(7곳), 123억원은 지자체 시행사업(7곳)으로 진행되고 있다.
주요 사업지로는 포항 영일대 해수욕장, 영덕 백석~고래불, 울진 후포면 금음·봉평2리, 울릉 서구 태하1리 등 침식 우려가 큰 지역이 포함돼 있다.
정상원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연안 침식에 대한 선제 대응뿐 아니라, 앞으로 '관리해안선' 제도 도입에 따른 기초자료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존의 콘크리트 중심 대응을 넘어서,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연안 관리 체계를 마련해 도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건강한 해안 공간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