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전기적 요인 화재 26.1% 집중
"에어컨실외기 주변 가연물 수시 점검해야"
|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최근 5년(2020~2024년)간 발생한 화재 현황을 분석한 결과, 7~8월에 '전기적 요인'에 따른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했다고 10일 밝혔다. 7월 924건·8월 919건으로, 전체 총 7036건 중 26.2%가 여름에 집중됐다.
시 관계자는 "지난 5년간 발생한 전체 화재는 총 2만 7760건으로, 여름철 화재 비중은 16.2%(4479건)에 불과했지만, 전기 화재가 여름에 집중되는 만큼 냉방기기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냉방기기 화재 중 전기적 요인은 총 191건으로 △접촉 불량에 의한 단락 72건 △미확인 단락 41건 △전선 등의 절연 성능 저하 40건 등 순이었다.
또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전체 화재 1만586건 중 7월이 1002건(9.5%)으로 가장 많았고, 8월(927건·8.8%)도 겨울철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권혁민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냉방기기 멀티탭 점검,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자제, 에어컨 실외기 주변 가연물 제거 등 여름철 냉방기기·전기 사용 안전 수칙을 지켜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