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업은 산불로 고사한 소나무 등을 공공 목조건축물 자재로 전환해 국산 목재 자급률을 높이고 지역 경제 회복에도 기여하는 민·관 협력 사례다.
산불 피해목은 외관만 불에 그을렸을 뿐 내부 품질에는 문제가 없어 구조재·내외장재 등 건축재로 활용 가능하다.
수요처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공공건축에 우선 적용하는 시범사업이 추진됐다.
산림청·경상북도·영양군이 피해목을 수집하고, 국산목재협동조합이 이를 가공해 목재 품질을 관리해 건축용 자재로 생산한다.
가공된 목재는 서울·광주·충주·제천 등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공공 목조건축물에 산불 피해목을 건축재로 사용될 예정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산불 피해목을 자원화해 산림 회복과 국산 목재 산업 활성화, 지역경제 회복을 함께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6년 준공 예정인 '경상권 목재자원화센터'가 준공되면 산불 피해목 가공 능력이 더욱 확대돼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