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올해 상반기 글로벌 IPO 공모액 전년 대비 20% 늘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5010008252

글자크기

닫기

김동민 기자

승인 : 2025. 07. 15. 09:45

미주 지역에서 공모액 50% 증가
증시 강세 속 하반기도 IPO 시도 기업 증가 전망
다운로드
/삼일PwC
올해 상반기 동안 글로벌 기업공개(IPO) 공모 금액이 1년 전보다 20% 가까이 증가했다. 미주 지역에서 공모 금액이 50% 넘게 늘어나면서 전체 공모 규모를 끌어올린 영향이다.

하반기에도 글로벌 IPO 시장의 추가적인 회복 가능성이 제기됐다. 글로벌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이지만, 주식 시장의 상승 분위기에 맞춰 기업들이 IPO에 적극 나설 수 있다는 판단이다.

15일 삼일PwC는 올해 상반기 글로벌 IPO 실적 및 하반기(7~12월) 전망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글로벌 IPO 공모 금액은 582억 달러로, 전년 동기(496억 달러) 대비 약 17% 증가했으며, IPO 건수도 444건에서 486건으로 9% 늘었다.

미주 지역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56% 증가한 275억 달러의 공모 금액을 기록하며 글로벌 상승을 견인했다. 나스닥과 뉴욕증권거래소가 각각 194억 달러와 81억 달러를 조달하며 시장 회복을 이끌었고, 특히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의 IPO가 상반기 IPO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아시아 지역의 IPO는 중국, 홍콩, 인도, 일본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전년 동기 대비 IPO 건수는 34건 감소했으나, 건당 평균 조달 규모가 커지면서 전체 공모 금액은 213억 달러로 집계됐다. 일본의 반도체 관련 회사인 JX금속주식회사(JX Advanced Metals Corporation)는 IPO를 통해 25억 달러를 조달했고, 인도는 상반기 글로벌 상위IPO 10건 가운데 2건을 포함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한국은 같은 기간 총 40건의 IPO에서 2조2125억원의 공모 금액을 조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IPO 건수는 15건 줄었으나, 공모 금액은 LG CNS 상장(공모금액 1조1994억원)에 힘입어 3669억원이 증가하며 19.8%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은 거시경제 둔화와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IPO 공모 금액이 9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했다. 다만 2분기(4~6월) 후반으로 갈수록 변동성이 완화되며 점진적인 회복 추세를 보였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의 저가 항공사인 플라이나스가 걸프지역 항공사 가운데 처음으로 약 20년 만에 IPO를 성공시켰으며, 스웨덴의 의료 솔루션 업체도 8억 8800만 달러를 조달하는 등 일부 대형 상장 건이 시장을 견인했다.

올해 상반기 글로벌 IPO 상위 10위는 미국, 인도,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등 5개국에 고르게 분포됐고, 총 135억 달러(전체 IPO 공모 금액의 23%)를 차지했다. 산업별로는 금융, 기술, 에너지, 헬스케어, 금속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형 IPO가 이뤄졌으며, 특히 기술 기업은 상위 10건 가운데 4건을 차지하며 회복세를 나타냈다. 금융 부문은 전체 공모 금액의 31%에 해당하는 183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미국 내 SPAC IPO의 급증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4월 초 미국 관세 발표 이후 주요 지수가 약 10% 하락하고 변동성 지수(VIX)가 팬데믹 수준을 넘어서면서 시장이 일시적으로 위축됐으나, 2분기 들어 무역협상 진전과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증시가 다시 회복세로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세계지수는 상반기 9% 상승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5%, 유럽의 스톤스(Stoxx) 600지수와 영국 증시 FTSE 100지수도 각각 7%씩 상승하며 반등했다.

또한 보고서는 올해 하반기 이후 글로벌 IPO 시장의 추가적인 회복 가능성을 전망했다. 이에 대해 "거시적 경제 상황 및 지정학적 불안정성이 여전히 주식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지만, 그간 IPO를 보류하던 기업이 주식 시장의 상승 분위기와 투자금 회수 시기가 맞물리는 것에 힘입어 하반기 IPO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기록 삼일PwC 글로벌 IPO서비스 리더(파트너)는 "올해 상반기 글로벌 IPO 시장은 전기 대비 회복세를 보였으나, 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여전히 높은 상태"라며 "하반기에도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IPO를 준비하는 기업이라면 글로벌 거시 경제 환경에 따른 리스크 관리와 유연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동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