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설치 대수 산정 교통사고 예방효과 극대화
|
이번 연구는 교통사고 발생 이력과 단속 기록 등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안전 취약지에 무인단속장비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장비 단순 증설을 넘어, 지역 특성에 맞춘 정밀한 교통안전 정책 수립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연구에는 지역 교통전문가들이 참여해 장비 설치에 적합한 위치와 대수를 선정하고, 연차별 예산 계획도 수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존 설치 장비의 효과성 재평가를 통해 성과가 미흡한 장비는 철거하거나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도로 구조나 교통환경이 변화한 지역은 교통사고 통계, 교통량, 주변 시설물 변화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장비를 재배치하는 등 유동적인 대응에 나선다.
올해는 이륜차 위반이 잦거나 주민 민원이 지속된 지역, 특히 동구 봉무지하차도 등을 중심으로 우선 설치 대상지를 선정했다.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는 "현장 실태조사와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교통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들의 체감 안전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중구 대구시 자치경찰위원장은 "이번 선도사업은 대구시가 자치경찰제 시행 이후 독자적인 과학치안 역량을 기반으로 추진하는 정책 중 하나로, 향후 교통안전 정책의 방향성과 실행력 강화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단순한 장비 설치 차원을 넘어 지역 특성에 맞춘 과학적인 교통안전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