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청래·박찬대 “검찰 개혁” 한목소리… “돌파” “대화” 對野관계 설정 온도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7010009628

글자크기

닫기

심준보 기자

승인 : 2025. 07. 16. 17:19

민주 당대표 후보 첫 TV토론회
민주당 정청래-박찬대 당대표 후보 기념촬영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왼쪽)·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에서 TV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권을 놓고 맞붙은 정청래·박찬대 후보가 16일 첫 TV토론회에서 격돌했다. 두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각자 자신의 역할을 부각하며 토론을 시작했다. 주도권 토론에서는 검찰개혁, 대야 관계 설정, 당 운영 방식 등을 놓고 '강력한 투사'와 '안정적 팀플레이어'라는 리더십으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두 후보는 검찰개혁의 신속한 추진에 대해선 한목소리를 냈다. 정 후보는 "절대 독점은 절대 부패한다"고 역설했고, 박 후보는 "결단만 내리면 8월에도 가능하다"며 속도전을 예고했다. 다만 '내란 세력'으로 규정한 국민의힘에 대한 대응 방식에서는 미묘한 온도 차를 보였다. 정 후보는 "국민의힘은 위헌 정당 해산 심판 청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며 강경론을 주창했다. 반면 박 후보는 "내란 특검법을 통해 재판부, 특검을 별도로 세웠다. 결과를 충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절차적 접근을 강조했다.

야권과의 관계 설정을 두고 정 후보는 '돌파'를, 박 후보는 '대화'를 앞세웠다. 정 후보는 "싸움은 당에서 할 테니 대통령은 일만 하시라"며 역할 분담을 언급했다. 그는 "국회에서의 협상력은 의석수"라며 수적 우위를 통한 개혁 관철을 주장했다.

반면 박 후보는 "협치를 포기할 수 없다. 다만 거래는 단호히 응하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화의 바탕은 평소에 쌓여 있는 신뢰"라며 야당을 협상장으로 끌어들이겠다는 리더십을 부각했다.

'친명' 후보로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쓴소리가 가능하냐는 질문에는 답변이 확연히 엇갈렸다. 박 후보는 "꼭 필요한 쓴소리가 있다면 과감하게 말씀드릴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정 후보는 즉답을 피하면서도 "이재명 대통령과 한 몸처럼 움직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의 성공이 저의 정청래 당 대표의 운명"이라고 했다.

당원 주권 강화 방안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였다. 정 후보는 '당원 콘서트' 개최 등 당원의 자부심을 높이는 축제를 통한 참여를 제안했다. 그러자 박 후보는 이를 예상한 듯 "일회성 또는 인기를 끌기 위한 이벤트성 공약보다는 당원이 실제로 당의 주인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전략공천 당원 추인제 등의 제도적 개혁을 약속했다.
심준보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