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논문표절·자녀유학 논란’ 사과한 이진숙… “장관, 잘할 수 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7010009633

글자크기

닫기

이한솔 기자

승인 : 2025. 07. 16. 17:23

청문회 사흘째 여야 충돌 격화
자진사퇴 의사 묻자… "교수들 지지성명"
김영훈·정성호 후보자 '주적 논란' 맹공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등이 제기된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선서를 하고 있다. /이병화 기자 photolbh@
여야는 16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비롯한 3개 부처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공방을 펼쳤다. 이 후보자는 논란이 불거진 '자녀 조기유학·논문' 논란에 대해 사과하면서도 장관직은 잘해낼 수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이 후보자 청문회에서 국민의힘은 논문 표절 의혹, 자녀 조기유학비 관련 자료 미제출, 증인·참고인 채택 불발 등을 지적하며 '장관 부적격론'을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자녀 유학비 지출'은 미성년자에 대한 개인정보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오전까지 자료 제출을 촉구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이 후보자가 95%의 자료를 모두 제출했다며 반박했다. 또 과거 국민의힘이 김건희 여사의 숙명여대·국민대 논문표절 당시에도 관련 회의록 공개를 반대했던 사례를 들며 이 후보자를 방어했다.

이 후보자는 본인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했다. 이 후보자는 자녀 건강보험 피보험자 자격 유지 등에 대해 "인식하지 못했으나 실수가 있던 점을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밝혔다. 논문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혹들이 생긴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지난 30여 년간 학자적 양심에 따라 학문의 진실성 탐구를 해왔고 제자들을 양성했다. 대부분 연구가 학생이 학위논문 전 제가 국가연구 프로젝트를 수주해 연구책임자로 수행한 연구다. 제가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며 "제자는 연구를 발전시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져간 것이다. 같은 실험을 했기 때문에 논문에 담긴 표 등이 같을 수밖에 없다"며 논문가로채기·표절 의혹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서 스스로 평가해 달라는 주문엔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이 후보자를 반대하는 여론에 대해 자진사퇴 의사가 있느냐는 말엔 "몇 분들이 반대하지만 22만 충남대 총동창회를 비롯해 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실제 다수 교수 집단이 지지 성명을 냈다"며 일축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선 '북한이 주적이 아니다'라는 과거 발언을 두고 "국무위원 자격이 없다"는 야당의 비판이 쇄도했다. 야권 의원들은 "국무위원 후보자에게 우리의 주적을 묻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것이다. 본인 입장을 얼버무리고 통일장관·국방장관 후보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데 급급했다"고 비판하며 집단 퇴장하기도 했다. 김 후보자는 장관이 되면 곧바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을 당정 협의를 통해 입법추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주 4.5일제'에 대해선 가능한 곳부터 시범사업 후 지원하겠다고 했다. 정년 연장은 "반드시 올해 안에 진행돼야 한다"고 했다.

'주적' 논란은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까지 번졌다. 정 후보자는 '대한민국의 주적이 어느 나라라고 생각하느냐'는 야당 의원의 질문에 "북한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곽규택 국민의힘 의원은 "감동했다"고 화답하기도 했다. 과거 '이재명 대통령의 재판은 공소 취소하는 것이 맞는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에 대해선 "공직 후보자 지명되기 전,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으로서 한 말이다. 당시 지명을 예상도 못 한 상태"라며 "지금은 국민에 대한 공적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자로서 견해는 따로 드리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검찰개혁에 대해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정 후보자는 "검찰개혁은 당면한 핵심과제이고 거스를 수 없는 개혁의 방향"이라며 "국민께 드리는 부작용이 없어야 하며 범죄 수사 역량도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 검찰개혁 밑그림과 구체적 방안을 국회와 적극 협의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한솔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