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현지시간) AP통신과 크메르타임즈 등에 따르면 네트 페악트라 캄보디아 공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지난달 27일 이후 전국 43곳에서 단속을 벌여 총 2137명을 구금했다"고 밝혔다.
구금된 용의자들 중엔 중국인이 589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429명·인도네시아 271명·방글라데시 70명·한국 57명·파키스탄 42명 순이었다. 이 외에도 태국·라오스·인도 등 다양한 국적의 용의자들이 구금됐다.
동남아시아에 기반을 둔 이들 온라인 사기 조직은 전 세계인들을 상대로 가짜 투자나 로맨스 스캠 등의 수법으로 사기행각을 벌여 매년 수십억 달러를 챙기는 국제 범죄의 온상으로 지목돼 왔다.
캄보디아 정부는 이번 단속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 강조했다. 페악트라 장관은 "단속은 현재도 진행 중"이라며 "모든 불법 사이버 범죄 활동을 근절하라는 최고 지도부의 지시에 따라 계속될 것"이라 강조했다.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는 최근 온라인 사기에 대한 적극적인 단속을 지시하며 관내에서 온라인 사기 범죄를 근절하지 못하는 공무원들을 "직위를 해제하거나 전보 조치 시킬 것"이라 직접 경고하기도 했다.
캄보디아 정부가 이처럼 대대적인 단속에 나선 것은 '온라인 사기 범죄 국가'란 오명을 벗기 위해서다. 그동안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인권 단체들은 캄보디아의 온라인 사기 센터들이 인신매매와 현대판 노예 제도의 현장이라고 비판해왔다.
국제엠네스티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아시아 등지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는 사람들이 고임금이라니 유혹에 속아 조직적인 갱단이 운영하는 지옥 같은 노동 수용소로 끌려가, 폭력의 위협 속에서 사기를 치는 신세가 된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계 범죄조직과 캄보디아 경찰 사이에 공모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유착 의혹까지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