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협의회는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한 현안을 공유하고 협력이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시 미래혁신부시장과 해수부 차관으로 구성해 양자 간 교차로 주관해 추진한다.
이는 고위급 협의체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정책 실행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해수부 직원들의 △정주 여건 △보육시설 △교육환경 등 실질적 협력과제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해수부 연내 이전은 대통령의 국무회의 지시(6.24.) 이후 15일 만에 해수부 부산 청사가 동구로 결정되는 등 유례없는 속도감과 추진력을 가지고 현실화하고 있다.
시는 해수부 청사 확보, 건축직 전담직원 파견, 동구청 원스톱행정지원 전담조직(TF) 구성 등 전방위에 걸친 행정지원을 이어 나가고 있다.
김성범 해수부 차관은 "이번 협의회는 단순한 의견 교환을 넘어 실질적인 협력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계기로 해수부는 북극항로 개발 거점을 육성하고 국가 차원의 사령탑(컨트롤타워)을 구축하는 등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저를 단장으로 하는 해수부이전지원단을 구성·운영해 더욱 촘촘하고 두터운, 그리고 피부에 와닿는 지원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해수부 직원들의 주거 확보, 직장어린이집, 지역은행 연계 금융지원, 자녀 전·입학 등을 위한 교육청 협력 등 해수부 부산 안착을 위한 실질적 대책들을 빈틈없이 챙겨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