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 대통령 웃게 한 송미령 장관, 공직자 재해 대응 모범안 제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3010013505

글자크기

닫기

세종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07. 23. 18:02

사진 6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이 21일 경기 가평군 일대를 방문해 집중호우로 인한 농업 분야 피해를 점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정영록 증명사진
정영록 경제부 기자
최근 전국에 쏟아진 집중호우가 농촌을 쓸어덮쳤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복구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발 빠른 행보가 공직자 모범사례로 떠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2일 국무회의에서 농식품부의 신속 대응을 특별히 언급하며 칭찬했기 때문이다.

송 장관은 지난 16일부터 시작된 집중호우로 농작물 침수, 가축 폐사 등 농업 분야 피해가 발생하자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간부급 이상 직원들에게 현장점검을 지시했다. 이후 주말과 평일을 가리지 않고 충남 부여, 경남 산청, 경기 가평 등 지역을 순차적으로 방문해 침수 및 산사태 피해를 살폈다.

'물 폭탄'이 지나간 자리에서 농업인들은 한 해 농사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생계를 걱정하고 있다. 호우로 벼·논콩·수박 등이 물에 잠기고, 시설하우스와 축사도 일부 무너졌다. 농식품부 시·군별 호우 피해현황 자료를 보면 22일 기준 농작물 침수는 2만9111㏊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축구장 약 4만771개를 합친 규모로 서울 면적의 48% 수준이다. 가축 폐사는 가금류를 중심으로 178만 마리를 웃돌았다.

송 장관은 피해 농업인의 영농회복을 위해 농경지 배수, 흙 앙금 및 잔해 제거 등 복구 지원을 주문했다. 작물 생육관리 및 병해충 방제를 위해 영양제·약제 등 할인 공급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이달 말까지 지자체를 통해 피해신고 접수 및 조사를 마무리하고, 다음달 중순 복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재해보험금과 복구비를 신속히 지급하기 위해 손해평가인력도 사전에 배치했다. 신청 농가를 대상으로 최종 보험금이 확정되기 전 추정 보험금을 최대 50% 선지급할 예정이다.

재난·재해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대응'이다. 송 장관이 국무위원들 가운데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이같은 기민한 대처가 주효했다. 직원들이 새벽부터 수해 대비 비상근무를 이어가고 있는 와중에 야유회에서 '춤판'을 벌인 백경현 경기 구리시장, '오송참사' 2주기 추모기간 지역 시의원들과 술자리를 가진 김영환 충북지사의 행동과는 대비되는 부분이다.

'컨트롤타워 부재'는 곧 인명피해로 이어진다. 수해 지역 주민들은 16~20일 비가 퍼붓는 동안 목숨이 위태로웠다. 행정안전부 일일상황보고에 따르면 이번 호우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28명으로 잠정 파악됐다. 실종자 수색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일부 지역은 특별재난지역도 선포됐다. 물난리를 피해 집을 떠난 이재민은 1만5000여명으로 이 중 3000여 명이 임시 주거시설에 머물고 있다. 심리적 응급처치를 받고 있는 인원은 400명을 웃돈다.

무능한 지휘관은 적보다 무섭다. 공직자는 공공질서와 국민 안전 등을 지키기 위해 일선에 있어야 할 지휘관이다. 송 장관은 자리를 지키며 할 일을 했다. 재난 앞에 공직자 역할은 선택이 아닌 의무임을 모든 '영감(令監)'님들이 명심해야 한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