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윤호중 “디지털 신분증, 국민 일상으로”…첫 행보서 민간 확대 강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3010013728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7. 23. 17:41

보안 강화·비대면 인증 지원…실물 신분증 대체 가능성 커져
670만 명 발급 완료, 금융·비대면 서비스 연계 확대
KakaoTalk_20250723_171641076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에서 축사하고 있다. /설소영 기자
"모바일 신분증이 단순히 스마트폰에 옮겨 담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혁신 서비스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성공적인 모델이 되길 기대합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의 첫 공식 일정으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디지털 신원인증 체계를 구축하는 '인공지능(AI) 시대 디지털 전환'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윤 장관은 "정부는 민간개방이 성공적으로 되려면 안전성이 최우선이 돼야 한다"며 "정부는 민간개방 사업자 선정에 보안성, 안전성, 기술역량 등 가장 엄격한 평가 기준을 적용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행안부는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사업 모집 공고를 내고 참여 사업자를 선정했다. 행안부는 엄격한 보안, 품질, 성능 평가를 위해 작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금융보안원과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적합성 평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기존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삼성월렛에서만 발급받아 사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 개방으로 삼성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KB스타뱅킹 △네이버 △NH올원뱅크 △토스 △카카오뱅크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이용할 수 있다.

KakaoTalk_20250723_171448012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열린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에서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와 함께 시연하고 있다. /설소영 기자
주민센터, 면허시험장 등에서 발급받은 실물 IC 신분증을 스마트폰에 인식해 모바일 신분증으로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법적 효력을 갖는다. 다만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토스 앱, 카카오뱅크 앱에서만 신분증 발급이 가능하다. 정부는 추후 앱을 확대할 계획이다.

모바일 신분증은 이용자의 단말기 보안 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돼 중앙 서버에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는다.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증명이 있어야 발급이 가능하며, 생체인증 기능이 적용돼 보안을 강화했다. 데이터센터가 해킹되더라도 신분증 정보는 유출 없이 안전하게 보호된다. 단말기를 도난당하거나 분실해도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이나 콜센터로 신고 시 신분증이 중단된다.

행안부와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 모바일 신분증을 금융권에 적극 도입하고, 국민이 보다 안전하게 디지털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이번 민간 개방으로 정부는 혁신적인 서비스가 개발·제공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협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보안성이 검증된 민간 앱을 활용해 AI 시대에 걸맞은 안전한 디지털 신분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