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민관 참여단 구성 소통채널 활성화
|
정장선 평택시장은 24일 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평택호를 친환경 생태 혁신 모델로 구축한다"고 밝혔다.
중점관리저수지는 '물환경보전법'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수질 개선, 수생태계 복원, 수변 휴양 기능 강화 등 종합적인 관리 대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지정되는 제도다.
평택호는 지난 1973년 준공된 대형 인공저수지로 약 1억 톤의 저수량을 보유하고 있다. 황구지천·오산천·진위천·안성천 등 51개 하천과 연결돼 농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 생태 보존 등의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최근 급격한 도시 개발과 K-반도체 벨트 산업단지 조성으로 폐수가 유입되면서 수질이 악화돼 농업용수 기준 4등급 수준에 여름철 녹조와 악취 문제로 주민 생활환경에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해 왔다.
이에 시는 지난해 2월부터 환경부에 평택호를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해 달라고 건의했고, 약 1년 6개월간 기술 검토와 협의를 거쳐 중점관리저수지로 선정되게 됐다. 특히 전국적으로 중점관리저수지는 총 11곳이지만 평택호는 '대규모 저수지' 가운데 최초로 수변 휴양 기능까지 포함하는 사례여서 의미가 크다.
평택시는 이번 지정을 통해 앞으로 환경부 예산과 기술 지원 아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수질 개선 사업을 지원받게 됨에 따라 2030년까지 현재 농업용수 기준인 4등급에서 쾌적한 친환경 휴양 공간 수준인 '3등급'으로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생태하천 복원, 공공하수 처리 현대화,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구축 등 맞춤형 대책을 병행하고 지역 주민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물환경 거버넌스를 구축해 투명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 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이달 말부터 관련 부서와 유관기관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시민 대상 보고회와 민관 참여단 구성을 통해 소통 채널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기본계획과 연구 용역 착수를 시작으로 반기별 이행 점검과 리스크 관리도 병행되며, 최종적으로는 성과 평가 후 시민에게 공개해 장기적 유지·관리를 확립해 나갈 예정이다.
정 시장은 "이번 중점관리저수지 선정은 단순한 수질 개선을 넘어 환경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국가적 결단"이라며 "환경부 등 관계 기관들과 협력해 친환경 생태 혁신 모델로 발전시키고 시민들이 쾌적한 생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