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24일 오전 서울시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김기문 회장을 만나 근로시간 단축, 중대재해처벌법, 최저임금, 노조법 2·3조 개정 등 주요 현안에 대한 현장의 부담을 공유했다. 김 회장은 "노동정책은 노사가 함께 상생할 수 있어야 한다"며 "중소기업 현실을 반영한 정책 논의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에 김 장관은 "중소기업은 우리 경제의 뿌리이자 다수 노동자가 일하는 곳"이라며 "중소기업 노동자가 존중받을 수 있도록 중기부 장관의 마음으로 정책을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소기업계와도 수시로 소통하며 실효성 있는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진행된 한국경영자총협회와의 간담회에서도 정년 연장, 근로시간 단축, 노조법 2·3조 개정 등 경영계가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사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최근 대내외 여건 악화로 기업의 부담이 큰 상황에서 노사관계 안정을 위한 정부의 균형 있는 역할이 중요하다"며 "특히 노조법 개정은 경제 전반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노사정 신뢰 회복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구조적 문제에 대한 대화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노사정, 노정, 노사 등 중층적인 사회적 대화 구조를 복원하고, 조정자로서 정부가 중심을 잡겠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친노동과 친기업은 양립할 수 있으며 상생하는 제도 설계를 위해 정책 초기부터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 간담회에서는 기술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재편 문제가 집중 논의됐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인공지능(AI) 기술 도입과 산업구조 변화로 고용 개념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며 "정규직, 정시출퇴근 중심의 고용 프레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기준을 마련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기술 혁신이 노동 소외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기업이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정부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경영계와 간담회 뒤 열린 취임식에서 노동정책 전반에 대한 철학과 방향을 제시했다. 김 장관은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 모두가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나라가 고용노동부의 존재 이유"라며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법제화, 산업재해 무관용 원칙, 지역 고용격차 해소, 청년·중장년 일자리 정책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노사 모두의 신뢰 회복 없이는 지속가능한 노동정책도, 산업경쟁력도 없다"며 "각계와의 대화를 제도화하고 실행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