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엔 허태근 재소환, 29일엔 조태용 소환 예정
|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박 전 보좌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오전 언론 브리핑에서 "박 전 보좌관은 순직해병 사망 사건 초동수사 결과를 보고한 현장에 동석했으며 이 전 장관과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과 긴밀히 연락하기도 했다"며 소환 이유를 밝혔다.
이어 "순직해병 사망 사건의 핵심적 내용과 관련돼 있을 가능성이 높아 여러 차례 재소환할 예정"이라며 "여러 사건에 관여한 정황이 있어 추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보좌관은 순직해병 사망 사건 당시 장관 군사보좌관(준장)으로, 이 전 장관을 보좌하며 이 전 장관의 사건 이첩 보류 지시 뒤 지시 사항을 해병대 사령부에 전달한 인물이다.
2023년 7월 31일 이뤄진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제기된 'VIP 격노설' 의혹과 관련해 이튿날인 8월 1일 김 전 사령관에게 순직해병 사망 사건 혐의자를 줄이라는 지침을 전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냐'며 격노해, 경찰로 사건 이첩이 보류되고 수사 결과가 변경됐다는 의혹이다.
정 특검보는 이날 오후 2시부터는 허태근 전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을 다시 불러 국방부에서 공유·보고된 문서와 관련해 재조사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순직해병 특검팀은 오는 29일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전 국정원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예정이다. 조 전 실장은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참석자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조 전 실장에게 순직해병 사망 사건 결과가 윤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경위와 당시 윤 전 대통령의 반응, 지시 사항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캐물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