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정부시는 최근 신청한 '정문부장군묘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허용기준 변경안'이 이달 개최된 경기도 문화유산위원회 심의에서 '원안가결'로 최종 승인됐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용현산단 고도제한 조치가 완화돼 산단 내 입주 여건이 개선되고 기반시설 확충도 탄력을 받게 됐다. 이는 용현산단의 규제 완화를 위한 의정부시의 지속적인 행정적 노력과 정책적 설득이 결실을 맺은 결과다.
이번 변경안은 지난해 7월 개정된 경기도 문화재 보호 조례에 따라 도지정문화재인 정문부장군묘 반경 200~300m 구간 내에서 32m 이상의 건축행위 시 사전심의 의무조항이 폐지된 데 따른 후속 절차다. 특히 해당 지역은 문화재보존과 개발 간의 균형이 요구되는 구역으로, 정교한 제도 설계와 절차적 정당성 확보가 핵심 과제였다.
무엇보다 문화재 인접 2구역 중 일부 중심부에 대한 추가적인 고도제한 완화가 반영됐다는 점이 돋보인다. 해당 구역은 지식산업센터, 기업지원시설, 근로자 편의시설 등이 밀집한 용현산단의 핵심지역으로, 기존 고도제한으로 인해 기업 입주 및 설비 도입에 상당한 제약이 있었다.
고도제한 완화는 단순한 건축허용 수준을 넘어 산업단지의 기능적 완결성과 입주기업의 공간 활용 효율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상징적인 제도 개선으로 해석된다.
이는 산단 내 부지 활용에 숨통이 트이게 돼 산업단지 내 입주 여건이 개선되고 기반시설 확충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정부시는 용현산단의 이미지 제고와 기능 재편을 위해 '용현 이노시티 밸리'라는 새로운 브랜드 명칭을 선정했다. 데이터센터, 바이오 기업 등 첨단업종 유치를 통한 산업다각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산단 고도화전략이 결실을 맺어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구조고도화 사업, 산단 내 연구개발(R&D) 중심 기업 투자 유치, 경기 AI혁신클러스터 사업지 선정 등 고부가가치 산업 허브로의 전환이 가시화되고 있다.
김동근 시장은 "이번 심의 통과는 문화재와 산업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문화유산의 가치를 보존하는 한편 기업과 첨단산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을 이뤄나가겠다"고 말했다.